은행들의 자본 건전성이 크게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19개 은행의 6월말 현재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평균 12.57%로 작년말보다 0.49%포인트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들 은행의 BIS 비율은 2003년말 11.16%에서 2004년 6월말 11.72%, 2004년말 12.08% 등으로 개선되는 추세다. 국내 은행의 BIS 비율은 미국 상업은행 평균 12.6%(이하 2004년말 기준)와 비슷하고 독일 4대 은행 평균 12.2%, 영국 5대 은행 평균 11.4%보다 높은 수준이다.
작년말과 비교해 BIS 비율은 외환은행(9.47%→11.07%), 부산은행(10.84%→12.46 %), 국민은행(11.14%→12.25%) 등 13개 은행은 상승한 반면 제일은행(11.91%→11.39 %), 대구은행(10.66%→10.58%), 제주은행(10.91%→10.27%) 등 6개 은행은 하락했다.
산업은행의 BIS 비율이 18.4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수협(13.45%), 수출입은행(13.41%), 한국씨티은행(13.07%), 우리은행(12.50%) 등의 순이었으며 조흥은행이 9.94%로 가장 낮았다.
올 상반기 은행들의 위험가중 자산이 4.4% 증가하는데 그친 것과 달리 자기자본은 6조6천억 원의 순이익과 정부출자 5천억 원(수출입은행) 등에 힘입어 8.6% 늘어나 BIS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금감원 김중회 부원장은 "올해 안에 국내 모든 은행의 BIS 비율이 10%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