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이 금품수수 등의 비리를 저질러 징계를 받는 비율은 낮아지고 있지만 음주나 과다채무, 축첩 등 품위유지를 제대로 하지못해 징계위원회에 회부되는 비율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소청심사위원회에 따르면 1995년부터 올 6월까지 11년간 국가직 공무원 비위와 관련, 9천263건의 소청심사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금품수수는 1995∼1997년평균 20.9%에서 1998∼2003년에는 19.0%로 그리고 작년과 올해 들어서는 각각 14.5% 와 12.5%로 낮아졌다.
업무 과실도 1995년부터 1997년 평균 54%를 기록했으나 1998∼2003년 42%로 낮아졌고 작년에는 24.3%로 급감했다. 하지만 음주나 과다채무, 축첩 등과 같이 공무원 품위 손상을 이유로 징계를 받아 소청심사를 신청한 비율은 높아졌다.
품위손상에 따른 소청심사 신청비율은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평균 20% 미만에 머물렀으나 작년에는 30.7%로 상승했고 올해 6월까지 32.7%를 기록하면서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