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확인된 것이 없던 세종대왕 친필이 최초로 발견됐다고 한글날인 9일 SBS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내 서지학계 원로인 천혜봉(千惠鳳)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가논문을 통해 공개한 '세종대왕 어사 희우정 효령대군 방문'이란 이 문서는 세종 즉위 7년인 1425년 4월 세종대왕이 가뭄이 극심해 기우제를 지낸뒤 형 효령대군이 있던 합강정을 방문했을 때 쓴 글이다.
이 글은 형님과 힘든 백성을 걱정하던 중 때마침 큰 비가 내려 이는 어진 형님의 덕이라고 적고 있고, 비가 와서 기쁘다고 해서 합강정을 희우정이라고 하고 있다. 가로, 세로 2-3㎝ 크기의 해서체로 썼으며 모두 10장으로 구성됐다.
이 문서는 한지와는 달리 섬유질이 가늘고 길며 질겨 왕실에서 사용하는 최고급한지를 사용했고 세종대왕의 글씨를 베껴 모각한 것으로 전해지는 전의 이씨 문중의'가전충효 세수인경' 글자와 필체가 같다는 점도 왕의 친필이라는 방증이라고 이 방송은 보도했다. 천 교수는 조만간 이 논문을 학계에 공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