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大邱도시개발공사는 '복마전'인가

대구도시개발공사 임직원 23명이 아파트 불법 분양으로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을 챙겼다는 경찰의 수사 발표를 보고 시민들은 "또 저질렀구나"하는 반응을 보였다. 그만큼 대구도시개발공사(도개공) 비리의 뿌리가 깊다. 이번에 터진 비리는 대구 시내 4개 아파트 단지 분양 추첨 때 로열층 20채를 빼돌려 나눠 가졌다는 혐의이다. 이 과정에 전 사장과 감사실 직원까지 관여했다는 것이지만, 설립 이래 꼬리를 문 그들의 전비(前非)에 또 하나의 수법이 더해졌을 뿐이다.

1988년 대구시가 시민에게 값싼 택지와 아파트를 공급하기 위해 세운 도개공은 출발 당시부터 인사 잡음, 부실 경영, 특혜 분양 말썽으로 시민의 기대를 저버렸다. 이후에도 각종 건설 공사를 하면서 입찰 예정가 누설, 뇌물 수수, 특혜 수의 계약 등을 저질러 툭하면 직원들이 경찰과 검찰에 잡혀갔다. 그럴 때마다 대구시와 도개공은 감사 기능 강화를 단골로 내세웠지만 모두 헛소리였다. 오죽하면 "수사기관들이 실적이 없을 때는 도개공을 뒤진다더라"는 우스개가 돌까. 수없이 망신을 사면서도 정신을 못 차리는 이유를 모르겠다. 그러니 지방 공기업 전체가 도매금으로 욕을 먹고 있는 것 아닌가.

어제 끝난 국정감사에서 정부 산하 공기업의 한심한 도덕적 해이가 비판을 받았다. 또한 전국 지자체가 직'간접 운영하는 328개 지방 공기업의 절반이 적자라는 사실이 도마에 올랐다. 이처럼 주민의 복리 증진은 고사하고 애물단지로 전락한 지방 공기업이 한둘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구도시개발공사의 특혜 분양 비리는 경찰 수사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 대구시의 감독 소홀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계속 투명 경영을 외면할 건가. 도개공을 퇴직 공무원 보금자리로 그만 끌고 갈 수 없는가. 대수술을 하라.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