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이 안풍 사건 자금 출처가 'YS 정치자금'일 가능성을 상당히 높게 평가하는 판결을 내림으로써 이 사건은 '안풍'에서 'YS 비자금' 성격을 띨 가능성이 높아졌다.
검찰이 수사에 착수할 경우 가능한 시나리오는 1992년 대선 때 쓰고 남은 잔금이 안기부 계좌에 들어갔다는 대선잔금설과 당선축하금설, YS 대리인이 총선자금 조달을 위해 별도 모금을 했을 가능성 등이 있다.
YS가 1992년 대선 때 기업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거둬 몇 년 후 총선자금으로 쓴 것이라면 정치자금법 위반에 해당하지만 이미 공소시효(3년)가 지나 사법처리는 물론, 진상규명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당선 축하금 등 기업들로부터 받은 대가성 있는 자금이 섞여 있었다면 특가법상 뇌물죄에 해당돼 YS를 사법처리할 수 있게 된다.
현직 대통령의 정치자금 수수는 청탁성 뇌물에 해당하고 재임중 공소시효는 정지되기 때문에 5천만 원 이상 뇌물죄의 경우 적용되는 특가법상 뇌물죄의 공소시효(10년)는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법리상 수사 가능성'과 '현실적 수사 가능성'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데 있다.
실제로 YS가 스스로 "당선축하금을 받았다"거나 "측근을 통해 자금을 모았다"고 말할 리가 만무한 상황에서 검찰이 이번 대법원 판결 외에 어떤 수사 근거를 확보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YS는 안풍 사건 항소심 때도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본인은 재임 중 국민에게 한 약속에 따라 누구에게서 돈을 받은 일도, 준 일도 없다"며 "법정에 출석한다 해도 이 같은 내용 외에 더 드릴 말씀이 없다"는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었다.
검찰이 수사에 착수하더라도 YS가 종전과 똑같은 입장을 고수한다면 'YS의 입만 바라보는 수사'가 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안풍 사건 자금의 출처 규명도 요원해질 것으로 관측된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