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호강 안심습지 철새체험
우리는 팔현 마을 주변에 있는 '안심 습지'로 체험을 갔다. 안심 습지는 약간 둥그스름한 강 모양이고, 강 주위에 갈대와 억새가 많았다. 갈대와 억새는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꽃이 났을 때, 갈대는 크고 억새는 작다. 꽃이 나지 않았을 때는 마디를 잘라 보면 갈대는 텅 비었고, 억새는 속이 꽉 찼다. 그리고 갈대는 직각처럼 꺾여서 자라고, 억새는 밀려 올라간다. 그 곳에서 여러 종류의 겨울 철새들을 보았다. 왜가리,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백로, 붉은 부리 갈매기, 물병아리, 가창오리, 홍머리오리, 검둥오리를 봤다. 철새들이 습지를 많이 찾아오는 것은 물고기 등 먹을 것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안심 습지를 지키는 이상원 선생님에 의하면 모든 철새는 북쪽 지방에서 먼 거리를 날아온다고 한다. 새는 자석 성분 덕분에 남쪽을 향해서 올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새의 이름은 제일 먼저 발견한 사람이 모양, 움직임, 소리로 짓는다고 한다. 배정인기자(월촌초3년)
▲ 오리의 종류
안심습지에서 백로,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가창오리를 보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창오리가 가장 인상에 남는다. 가창오리는 천수만에 사는 새로 멸종위기종이라서 보기 힘든데 운 좋게 볼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새들의 사진을 찍는 이상원 선생님도 5년만에 보는 새라고 하셨다. 오리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수면성과 잠수성이 있다. 수면성 오리는 물위에 떠서 먹이를 먹고, 잠수성 오리는 물속의 먹이를 먹고 산다. 수면성 오리에는 가창오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이 있고 잠수성 오리에는 비오리, 흰비오리가 있다. 박수민기자 (욱수초5년)
▲ 갈대와 억새의 차이
갈대는 속이 텅 비었고 억새는 속이 꽉 찼다. 그리고 갈대는 마디마다 잎이 붙었지만 억세는 잎이 띄엄띄엄 붙었다. 류병찬기자 (범물초3년)
갈대꽃은 자주색에서 흰색으로 변한다. 잎은 줄기 한 마디에 한 장씩 어긋나기로 붙으며, 잎이 크고 가장자리가 무척 거칠다. 또 갈대는 물가에서 자란다. 억새는 꽃이 은백색이고 한 쪽으로 잎이 모여 자란다. 또 꽃은 부채꽃 모양으로 촘촘하게 핀다. 줄기는 속이 꽉 차 있고, 잎은 가운데 맥이 희고 굵다. 억새는 산에 사는데 그곳의 억새들은 물억새였다. 갈대는 오염물질을 정화시켜 준다. 이경희기자(신매초5년)
사진-대구습지보존연대 이상원 집행위원장이 망원경으로 철새를 관찰시켜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