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기업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하면서 전공 및 실무능력을 평가하는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채용공고시 전공 사항을 명시하는 비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인터넷 취업포털 잡링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28개 IT업체를 상대로 채용기준을 조사한 결과, 보유기술 및 전공 평가 비중이 16.2%였으나 올해 10월 136개 IT업체를 조사했을 때는 24.4%로 8.2%포인트 높아졌다.
실무능력 평가 비중도 32.5%에서 34.7%로 높아졌으나 학력평가 비중은 23.9%에서 14.6%로 낮아졌다.
이 같은 전공 중시 경향은 IT업종의 채용공고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띠었다. 잡링크가 지난해 9~10월의 채용공고 1천486건을 분석한 결과, 전공 사항 명시율이 66%였지만 올해 9~10월에 발표된 1천759건의 채용공고를 분석했을 때는 78%로 12%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학력 사항 명시율은 지난해 62%에서 올해 56%로 6%포인트가 감소했다. 이밖에 지난해 11월에 112개 IT업체들의 주요 면접 질문 중 전공 관련 비중이 13.7%였지만 올해 10월에 118개 IT업체들을 조사했을 때는 이 비중이 20.8%로 7.1%포인트 높아졌다.
면접 질문 가운데 실무 관련 비중 역시 31.8%에서 34.2%로 높아졌으나 인성 관련 질문은 23.6%에서 18.6%로 낮아졌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대학들의 IT 인력 육성을 체계적으로 돕기 위해 5년뒤의 IT 인력 및 기술 관련 수요 예측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