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희 전 한나라당 사무총장의 '여기자 성추행' 파문에 대한 여야의 정략적 공방이 갈수록 도를 더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사안의 심각성을 내세워 최 전 총장의 의원직 사퇴를 촉구하는 등 파문 확산에 골몰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최 의원의 조기 의원직 사퇴만이 당의 살 길"이라며 조기 의원직 사퇴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여야가 최 의원 사건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 없이 5·31 지방선거 유불리를 놓고 선거용 공방만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은 표면적으로는 최 의원 사건이 선거용 공세로 비치는 데 대해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지난달 28일에는 최 의원 사건과 지방선거를 연관시킨 논평을 출입기자들에게 돌렸다가 취소하는 일도 있었다. 하지만 2일부터 공세를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최 의원의 의원직 사퇴 촉구에 이어 '진실 은폐' 의혹까지 제기하면서 공세를 강화한 것. 우상호 대변인은 "한나라당이 최연희 한 명만 희생하고 덮으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갖게 됐다"며 "박 대표와 지도부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회의를 열었는지 전모가 밝혀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에서 열린 윤리특위에서 여당 측이 최 의원 소명을 강력 요구한 것도 정략적 의도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이날 윤리특위에서 여당의원들은 소명의사가 없다는 최 의원의 간접 의사표시에도 불구하고 "본인 소명 없이 결론을 내릴 수 없다"며 강하게 맞섰다. 야당 측에서는 "최 의원을 두 번 죽이느냐" "부관참시하느냐"는 비판이 터져나왔다.
한나라당의 최 의원 사건 처리 방향도 정략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의원직 사퇴로 일찌감치 '도마뱀 꼬리를 자르고 가겠다'는 의도가 다분해 책임을 통감하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얼마 전까지 존경받는 사무총장이었던 최 의원이 이제는 당의 천덕꾸러기가 됐다"는 자조섞인 소리도 나온다.
특히 지도부는 최 의원의 의원직 사퇴를 끌어내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이재오 원내대표는 심지어 최 의원의 자택을 방문해 가족들에게 "의원직을 사퇴하는 것이 당에 대한 도리고 이번 사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한 관계자는 "최 의원 사건이 터진 후 당의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있다"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을 위해 최 의원이 의원직을 빨리 사퇴하는 것이 도리"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회의원 성추행'으로까지 번진 잦은 술자리 사고에 대한 반성 없이 미봉책에만 몰두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