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DI, 하반기 이후 '경기위축 가능성' 제기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국내 경기회복이 본격화하기도 전에 내년부터 경기가 둔화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러나 재정경제부는 최근 일부 경제지표가 부진하지만 경기가 단기간에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은 낮다고 반박, 논란이 일고 있다.

KDI는 16일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경제성장률이 상반기에는 전년동기 대비 6%에 이르지만 하반기에는 4%대 후반으로 낮아질 것"이라며 "현재의 경지확장 국면이 올해를 넘어 장기화될 수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전망했다.

KDI는 그 근거로 최근의 경기 상승은 2003~2004년의 거품 붕괴로 지나치게 위축됐던 소비가 정상화되는데 따른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처럼 소비가 주도하는 경기상승이 향후에도 지속되기는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제유가 불안으로 교역조건 악화가 지속되면 민간소비의 성장기여도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KDI의 분석이다.

KDI는 또 경기회복세의 한 축인 수출이 미국과 중국의 성장세 둔화에 영향을 받아 성장률이 낮아질 우려가 있는 것도 하반기 경기하강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신인석 KDI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경기확장 국면이 17개월로 단축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지난해 3월 저점을 딛고 올라오고 있는 경기는 이런 순환주기에 따라 연말쯤 확장국면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재경부는 '향후 경기둔화 가능성 점검'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제 유가와 환율 등 대외여건이 불리하게 전개되면 경기회복세가 둔화될 수 있다."면서도 "2004년과 같은 더블딥(경기가 하락세에서 잠깐 상승했다가 빠른 속도로 다시 침체국면에 빠지는 현상)의 가능성은 낮다."고 반박했다.

재경부는 "현재 일부 경제지표의 부진은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크며 현재의 회복세가 이어질 경우 당초 예상대로 올해 5%의 경제성장은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경훈기자 jgh031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