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대차 부채탕감' 금감원·캠코로 수사 확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부채탕감 비리 사건을 수사중인 대검 중수부는 산업은행 외에 금융감독원과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부채탕감 과정에 개입한 정황을 확보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17일 전 안건회계법인 김동훈씨가 로비를 한 대상으로 지목된 산업은행과 금감원, 캠코 중 산업은행의 역할이 가장 컸느냐는 질문에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답했다.

금감원이나 캠코도 산업은행 못지 않게 현대차 계열사들의 부채탕감에 적극 개입한 정황을 포착했음을 시사한 것이다.

검찰은 김씨로부터 14억5천만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박상배 전 산업은행 부총재에 대한 이날 영장실질심사에서 현대차그룹에서 압수한 '채권·채무 탕감 보고서'도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보고서에는 김씨를 통해 로비를 하게 된 배경, 금감원 고위인사와 산업은행 및 캠코 최고 경영진을 설득해야 하는 필요성 등이 명시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채 기획관은 "당연하게 해 줘야 될 일, 자연스럽게 될 일을 (현대차그룹이) 돈을 주면서까지 부탁할 필요가 있었겠느냐"며 금감원과 캠코 등을 상대로 한 현대차의 '금품로비 흐름'을 파악했음을 시사했다.

특히 검찰은 산업은행이 현대차 계열사인 ㈜위아의 부실채권을 공개매각하는 과정을 당시 산업은행 총재에게 보고했을 것으로 보고 수사 범위를 '윗선'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 김씨가 산업은행 외에 다른 채권은행 경영진에게 로비를 시도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이 부분도 조사 중이다.

한편 검찰은 정몽구 현대차 그룹 회장과 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의 사법처리에 필요한 법률 검토를 모두 마쳤으며 중국 방문을 마치고 19일 귀국하는 정 회장 부자의 소환일정을 금명간 결정할 방침이다.

채 기획관은 정 회장 부자의 사법처리에 대한 법률검토가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정리가 다 돼 있다"며 혐의를 입증할 만한 구체적 증거와 진술을 바탕으로 법률관계를 정리했음을 내비쳤다.

그는 또 "정 회장 부자 소환일정을 결정하는 데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