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이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사업을 시작한 이래 비무장지대(DMZ)에서 최초로 국군 전사자 유해가 발견됐다. 육군은 지난 9일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지역의 DMZ 남측 지역에서 한국전쟁 당시 전투 중 숨진 것으로 보이는 국군 전사자 유해 1구를 발굴했다고 15일 밝혔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 달 17일 GP(전초) 보급로 확장공사를 하던 중 발견된 유해는 육군본부와 군사정전위의 합동조사 결과, 국군 전사자로 판명됨에 따라 육군 유해발굴반이 현지에 투입돼 발굴이 이뤄졌다.
유해는 두개골과 팔, 다리, 갈비뼈 등 일부였으며 주변에서 철모, 수류탄, 8발들이 M1실탄창 31개, 탄띠, 수통, 대검, 탄입대, 압박붕대, 숟가락 등 비교적 완전한 상태의 유품 122점이 함께 발굴됐다.
특히 유품에는 당시의 치열한 전투 상황을 보여주듯 적군의 실탄에 갈기갈기 찢겨진 수통컵과 함께 전사자가 미처 마시지 못한 물이 그대로 담긴 수통도 포함됐다.
유해 발굴지역은 한국전쟁 당시인 1951년 6월26일부터 9월21일까지 국군 2사단17연대 및 32연대와 중공군 20군 예하사단이 735고지를 중심으로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벌여 수많은 전사자가 발생한 격전지라고 육군은 설명했다.
유해는 군번줄 등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유품이 없어 일단 DNA 검사를 통한 신원 확인과정을 거친 뒤 국립현충원에 봉안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