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40∼50대 남성.
1일 중앙선관위 발표 통계에 나타난 5.31 지방선거 당선자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광역단체장 16명을 포함해 총 3천867명의 당선자 신상 내역을 분석한 결과 학력은 대졸이상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연령은 40∼50대가 전체의 80%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성별.연령별.정당별 = 전체 당선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 3천339명(86.3%), 여성 528명(13.7%)였다. 광역단체장 16명 가운데는 여성은 한 명도 없었고 230개 기초단체장 중 여성은 3명이었다.
지방의원 여성 당선자는 광역 32명, 광역비례 57명, 기초 11명, 기초비례 326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1천550명으로 전체의 40.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40대 39.8%(1천539명) ▲60대 13.0%(501명) ▲30대 6.5%(250명) ▲70세 이상 0.4%(15명) ▲30세 미만 0.3%(12명) 등의 순이었다.
정당별로는 우리당 701명, 한나라당 2천346명, 민주당 378명, 민주노동당 81명, 국민중심당 89명, 무소속 272명 등이었다. 시민당과 한미준, 희망사회당은 당선자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최다 득표.최고 득표율 = 한나라당 오세훈(吳世勳) 서울시장 당선자가 240만9천736표를 얻어 218만1천677표를 얻은 같은 당 김문수(金文洙) 경기지사 당선자를 누르고 이번에 치러진 6종류 전 선거를 통틀어 최다 득표의 영예를 안았다.
한나라당 김관용(金寬容) 경북지사 당선자는 76.8%의 득표율로 광역단체장 당선자 중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고,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같은 당 조유행(曺由幸) 하동군수 당선자가 90.05%의 가장 '순도 높은' 득표율을 나타냈다.
무소속 김태환(金泰煥) 제주지사 당선자는 11만7천244표, 42.73%의 득표율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최소득표 당선과 최저득표율 당선이라는 '2관왕'을 차지했다.
군산시 아선거구의 장덕종(張德鍾) 기초의원 당선자는 불과 7.37%를 표를 얻었으나, 전 선거를 통틀어 최저 득표율 당선이라는 '행운'을 얻었다.
◇직업.학력별 = 직업별로는 지방의원 출신이 785명으로 20.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정치인(654명) ▲상업(354명) ▲농축산업(349명) ▲건설업(179명) ▲공무원(128명)이 그 뒤를 이었다. 의.약사(25명)나 변호사(3명) 등 전문직종 출신은 소수에 그쳤다.
무직자도 106명에 달했는데 대부분 기초의원 당선자였다.
특히 기초단체장 가운데 공무원(89명)과 정치인(71명)이 전체의 69.6%를 차지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이 2천97명으로 전체의 54.2%에 달했고, 대학원 출신은 559명으로 14.5%를 기록했다.
고졸은 672명, 중졸은 189명, 초등학교 졸업은 131명이었고 무학(독학 포함)도 13명이나 됐다. 학력을 아예 기재하지 않은 당선자도 138명에 달했다.
공직별로는 16개 광역단체장의 경우 4명이 대졸, 12명이 대학원 졸업자였다. 기초단체장은 80%인 184명이 대졸 이상 학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병역.전과 = 남성 당선자 3천339명중 군 복무를 마치지 않은 사람은 467명으로 14%에 달했다. 각급별 병역미필자는 ▲광역단체장 4명 ▲기초단체장 34명 ▲광역의원 89명 ▲기초의원 340명이었다.
병역면제 사유로는 질병 및 장애, 생계곤란, 수형 등 다양했다.
전과기록을 보유한 당선자는 261명으로 6.7%였으며 기초의원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각급별 전과자는 ▲광역단체장 2명 ▲기초단체장 14명 ▲광역의원 44명 ▲기초의원 201명이었다.
◇납세 = 광역단체장 당선자 16명과 기초단체장 당선자 230명 중 최근 5년간 소득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를 한 푼도 내지 않은 사람은 없었다.
반면 광역단체장 당선자 중 1억원 이상의 세금을 낸 사람은 3명이었고, 기초단체장 당선자 가운데서는 29명이 1억원 이상의 세금을 납부했다.
그러나 광역의원 당선자 655명 중 3명은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고, 50만원 미만의 세금을 낸 사람도 54명으로 집계됐다.
기초의원 당선자의 경우, 세금 납부액이 '제로'인 사람은 27명이었고, 50만원 미만의 세금을 납부한 당선자도 320명이나 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