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소비심리 악화 현상이 하반기에도 지속되고 이로 인한 성장둔화가 증시약세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도이치방크 스티브 마틴 연구원은 이날 한국경제 및 증시전망과 관련한 보고서에서 "수출 감소와 함께 가계 구매력 약화 및 신용구매 여건 악화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현상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마틴 연구원은 "정부와 일부 기관의 긍정적 전망에도 불구,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를 밑돌 것이란 우려가 점차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며 "약화된 GDP 성장률과 증시 사이의 연동현상은 이번에도 유효할 수 있으며 아마도 곧 닥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틴 연구원은 "비록 2.4분기 순수출이 긍정적 기저현상과 북미 및 아시아로의 선적량 증가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25.3% 증가했으나 미국경제의 악화로 수출증가세가 지속되긴 어렵다"며 "또 한국의 수출 증가는 기업의 수익성을 희생한 것이어서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