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섬유예산 놓고 산자부-지역정치권 '줄다리기'

산업자원부가'섬유산업 구조혁신 특별법(섬유특별법)' 제정을 대신해 마련한 '섬유패션산업의 구조혁신 실천방안'의 내년도 추진예산 규모를 놓고 산자부와 지역 정치권이 논란을 벌이고 있다.

현재 산자부는 섬유업계의 구조혁신, 기술혁신, 인재양성 등에 783억 원을 지원키로 한 이 방안의 자체 예산에다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에게 ▷섬유 스트림간(제조공정) 협력산업 150억 원 ▷패션디자인 글로벌화 산업 200억 원 ▷해외시장 맞춤형 마케팅지원 50억 원 등 365억 원의 증액을 요청해 총 1천148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대구 어패럴클러스터 구축사업에는 한 푼도 지원하지 않았는다는 것이 산자부의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방안 마련에 깊이 관여했던 한국섬유산업연합회(이하 섬산연)와 지역 의원들은 산자부 지원액 783억 원에다 ▷섬유 스트림간 협력사업에 310억 원 ▷패션디자인 글로벌화산업 250억 원 ▷해외시장 맞춤형 마케팅지원 123억 원 등 산자부의 지원계획보다 318억 원이 많은 1천466억 원을 요구해 왔다.

특히 섬유 스트림간 협력사업, 패션디자인 글로벌화 산업 등은 핵심사업이기 때문에 정부가 전폭적으로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산자부가 섬유특별법 통과 대신 섬유 패션산업 구조혁신안을 내놓고도 실제 예산 지원은 인색하다고 주장했다.

산자위 소속 한나라당 곽성문(대구 중·남구) 의원은 16일 "산자부가 책정한 현재 예산으론 섬유업계 구조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렵다."며"섬유산업 구조혁신의 핵심사업인 섬유 스트림간 협력사업, 패션디자인 글로벌화 사업, 맞춤형 해외마케팅 사업에 대폭적인 증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자부의 섬유패션산업 구조혁신 실천방안은 111개 관련사업을 선정해 2015년까지 총 1조8천157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정부는 1조588억 원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민간자본과 지자체에서 부담하게 된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