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일부 역점사업들 '해 넘겨'

야구장.순환도로.안전산업밸리 등

대구시가 올 해 추진한 일부 역점사업들이 결실을 얻지 못한 채 해를 넘기게 됐다.

12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형사업 중 야구장 건립과 4차 순환도로 건설, 안전산업 밸리 조성, 시청 청사 이전, 월드컵경기장 수익사업 등에 별다른 결과를 내지 못해 내년에 다시 추진해야 할 형편이다.

야구장 건립과 4차 순환도로 건설은 다행히 내년 상반기에 재추진할 여건이 되지만 나머지 3개 사업은 '안개 속'에 빠져 재추진 여부조차 불투명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야구장 건립의 경우, 대구시는 지난 6월까지 후보지를 결정하겠다고 공언했으나 결국 대구체육공원, 두류야구장, 옛 제일모직 부지 등 3곳 후보지만 거론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시는 부지 용도의 제한과 민원 발생 우려, 민간업자 유치 등의 복잡한 걸림돌에 부딪히자 내년 상반기에 1억원의 용역비를 들여 부지 선정을 결론짓겠다고 밝혔다.

또 4차 순환도로(달서구 상인동~수성구 범물동) 건설의 경우, 지난 3월 ㈜태영컨소시엄을 민자사업자로 선정한 뒤 6월에 착공해 2011년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시민단체의 반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지연 등으로 착공이 내년으로 넘어갔다.

시는 환경영향평가와 시의회 보고 등의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시민단체협의체와의 협의 과정을 해결하면 내년 상반기 중에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청 청사 이전의 경우, 최종 후보지를 올 초 결정한 뒤 2009년에 착공할 계획이었으나 시재정 부담을 이유로 무기한 연기했다.

시는 지난 2월 시 재정의 여건이 개선될 때까지 청사 이전을 보류한다며 시 청사 이전팀을 해체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시청 이전이 거론되지 않을 전망이다.

안전산업 밸리 조성의 경우, 지난 4월 총사업비 5천600억원을 들여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내 50만평에 안전산업의 기업 유치와 연구지원시설, 안전테마파크 등을 조성키로 계획했으나 사업비의 절반을 쥔 중앙 정부의 반대로 사실상 좌절됐다.

대구시 권태형 산업기술과장은 "안전산업 분야의 R&D(연구.개발)시설을 먼저 육성한 뒤 밸리 조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혀 밸리 조성 사업이 가속도를 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월드컵경기장 수익사업은 2002년 월드컵대회를 위해 지은 경기장 건설비 2천836억원 중 지방채로 조달한 1천855억원을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해마다 100억~173억원씩 갚아야하는 상황에서 대구시의 큰 숙제 중 하나다.

대구월드컵경기장관리소의 올 해 총수입이 고작 3억3천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수익사업은 더욱 절실하다.

관리소는 작년 말부터 지난 4월까지 경기장내 지하1층의 4개 사무실 1천520평에 대해 7차례에 걸쳐 공매(1차 9억4천만원, 7차 4억7천만원)를 실시했지만 사업용도가 문화.집회시설로 제한됐다는 이유로 단 한 명도 입찰에 응하지 않았다.

또 주차장에 대형 할인점을 건립하는 사업도 추진했으나 L기업 등이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포기해 사업추진에 손을 뗀 상태다.

관리소는 내년 3월 말 2013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대구 유치가 확정될 경우, 유치위원회 등과 의논해 수익사업을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