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예와 어울린 서예…이천우씨 문자·편병展

서예라고 해서 화선지 위에서만 붓을 놀리는 것은 아니다. 전통 한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부채 위에 먹의 유희를 즐기기도 한다. 도예가 이천우 씨는 편병(扁甁) 위에서 글씨를 놀린다.

이 씨의 7번째 개인전 '이천우의 문자·편병'전이 2007년 1월 5일까지 갤러리 쁘라도(053-602-7312)에서 열린다.

'편병'은 글자 그대로 '넙적(扁)한 병(甁)'이다. '납작병' 편병은 보통의 병 형태에 비해 몸체가 둥글면서 편평하고 목이 짧다.

15세기 조선 세종과 성종 연간에 가장 많이 만들어진 서민적인 기형을 띄고 있다. 물레에서 쳐 올려 동그란 병의 양쪽 배를 툭툭 쳐서 넓적하게, 목이 짧게 만든 것이 생활 속에서 맘 놓고 놀릴 만하다.

이 씨는 전통적인 편병이 지닌 기형성과 미감을 나름대로 해석했다. 매끈함 대신 투박하고, 유려함 대신 거친 맛을 살렸다. 사질토를 덧바르면 까칠한 때깔이 보이고, 입 부분이나 몸체를 비정형의 모깎기로 쳐내 느낌이 세다. 화장토가 불규칙하게 흘러내리기도 했다. 굽 대신 세 개의 발로 만든 삼족(三足) 편병, 짧은 목 대신 이를 길게 뺀 장경(長頸)편병도 보인다.

문자를 매개로 한 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는 이 씨는 그 편병 위로 문자를 양각으로 깎아내기도, 붓으로 그려 넣기도 했다. 상형성이 가장 잘 남아있는 동물 계열(象·龜·魚·鳥 등), 인간 삶의 조건인 자연 계열(木·天·雨·林 등),

이상적인 경지의 관조와 명상 계열(樂·禪·觀·空 등)의 글이 상형된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