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내집마련 꿈, 점점 더 멀어져간다"

결혼 후 내집마련까지 8년 이상이 소요되는 등 주택장만의 꿈이 점차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비자들은 부동산 가격이 내년에도 오를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 연구소는 전국 19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2천 명을 대상으로 '2006년도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결혼 후 내집 마련에 소요된 기간은 평균 8.2년으로 지난해의 7.7년보다 0.5년 늘어났다. 월평균 가구 소득이 늘어났지만 내집마련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최근 집값 상승에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즉 임금 인상에 비해 주택가격 상승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서민들의 내집 마련 꿈은 더욱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06년 구입가구 기준으로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은 38.5%였다. 월평균 대출금 상환액은 53만 원, 월소득 대비 상환액(PTI) 비율은 평균 18.0%로지난해의 17.6%에 비해 상승했다. 특히 월소득 150만 원 미만 계층의 PTI는 55.9%로 타 소득계층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주택대출을 갚는 데 월 급여의 절반 인상을 붓고 있다는 얘기다. 2007년도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상승'이 45.5%로 '하락'의 9.8%를 압도적인 차이로 눌렀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안정화 조치에도 시장 주체들은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가 추진해야 할 중점 과제는 주택투기억제(45.3%), 세제개선(21.4%), 주택공급확대(16.0%), 주택금융지원 강화(10.4%)의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주택 구입시 고려사항으로 자녀의 교육여건(27.2%), 주택지 환경(26.2%), 향후 집값 상승 가능성(19.0%) 등이 꼽혔다. 희망 대출상품은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36.3%), 국민주택기금 대출(30.3%), 공사 보금자리론(21.7%)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