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막한 날
김영수
구름은 아니 뵈고 구름그늘만 깔린
허공, 저 막막한
막막해서 門(문)이 없는
천지에
출구를 낸다
새 몇 마리 소리
시인의 아호는 '鵲松(작송)'. 우리말로는 '까치솔'쯤 되겠지만, 그냥 '까치 형'이라 부릅니다. 하마 스무 해 전의 일이로군요. 이 땅을 떠날 때 공항에서 걸려온 마지막 전화를 받기도 했고, 그 울먹임을 삭이며 더러 편지도 주고받곤 했지요.
까치 형의 '막막한 날' 앞에서 새삼스레 막막해집니다. '구름은 아니 뵈고 구름그늘만 깔린/ 허공' 탓인가요? 구름그늘만 깔렸다는 표현의 그늘에서 한참을 머뭇댑니다.
허공은 들어가는 문도 나오는 문도 없지요. 그래서 太虛(태허)요, 蒼極(창극)입니다. 그런 막막한 '천지에/ 출구를 내'는 것이 다름아닌 '새 몇 마리 소리'라니! 이는 자연에 대한 놀라운 발견입니다.
살다 보면 누구나 막막한 날 있습니다. 막막해서 하늘 밑창이라도 팍, 뚫어버리고 싶은 날 있습니다. 그런 날은 그저 마음 속에 새라도 몇 마리 풀어 놓을 일입니다. 먼 데서 진작부터 그리 살아왔음직한 까치 형도 명년이면 환력이니, 가는 세월을 꺼당길 수도 없고… 참.
박기섭(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권성동 구속 직후 페북 입장문 "민주당, 피냄새 맡은 상어떼처럼 몰려들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