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영남권 5개 단체장 결집력 기대된다

어제 대구'경북'부산'경남'울산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대구에서 모임을 갖고 낙동강 운하와 新(신)국제공항 건설 조기 추진에 대해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 21일 이명박 대통령의 "한반도 운하는 뒤로 미루고 4대 강 정비와 수질 개선, 뱃길 복원 사업부터 우선 추진할 것"이라는 발언에 이어진 5개 단체장의 한결 높아진 목소리다. 낙동강 운하의 필요성과 영남권 국제공항 건설의 당위성은 새삼 얘기할 필요가 없다. 이 兩大(양대) 사안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가장 핵심적 인프라이기 때문이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이날 "낙동강 홍수 피해가 매년 5천400억 원에 이른다"며 운하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신공항은 10~15년씩 걸려서는 늦다"고 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도 "낙동강 운하와 신국제공항 건설 같은 어젠다를 지방에서 만들고 이를 국정과제로 구체화해 나가자"며 지역에서 먼저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권 3개 단체장도 공동발전 전략에 적극 찬성, 건의문을 채택했다.

영남권 발전의 기본 중에 기본인 이런 중대 사안이 그동안 겉돈 것은 환경단체들의 반대와 지자체 간의 이해가 서로 엇갈렸기 때문이다. 이제 운하를 治水(치수) 차원으로 개발하고, 신공항 건설의 당위성도 대통령이 인식하고 있는 만큼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5개 지자체가 앞으로 더욱 일사불란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점이다.

낙동강 운하는 비교적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낙동강 하류의 상수도 문제와 연결돼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 넘어가야 한다. 신공항은 당위성에 대해서는 반대가 없으나 위치 선정에 들어가면 문제가 복잡해진다. 사실 5개 지자체는 신공항 건설이 추진력을 잃을까 두려워 그동안 입지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함구(?)하고 당위성에 대해서만 한목소리를 내왔다. 이제 건설이 구체화되면 위치 선정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것이다. 대통령도 '영남권을 1시간 내로 묶는 곳이 좋다'는 뜻을 비쳐 경북 청도와 경남 밀양이 후보지로 급부상하고 있으나 쉽게 결말 날 사안이 아니다.

어쨌든 영남권 5개 단체장은 낙동강 운하와 신공항 건설의 첫 삽을 뜰 때까지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금보다 더 일관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것이 조기 착공의 지름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