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수가 마운드에서 공을 던지는 것은 캐치볼과는 성격이 다르다. 캐치볼은 공을 던지는 게 목적이지만 투수는 공을 때리려는 타자와 승부를 펼쳐야 한다. 만약 투수의 공이 위력이 없거나 제구가 되지 않으면 안타나 홈런, 볼넷을 내줘 위기에 몰리고 이는 곧 승패와 직결된다. 때문에 투수는 던지는 공 한 개 한 개에 모든 정성을 쏟아야한다.
13세기 영국에서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야구는 1775년 미국으로 전해진 후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 재미있는 경기규칙과 다양한 기술을 만들어내며 효율성을 높였다. 투구 역시 공에 힘을 실어 위력적인 볼을 던지는 방법을 놓고 수많은 실험 끝에 모범답안을 만들어냈다.
다리 들기-스트라이드-어깨 회전을 이용한 공 던지기를 기본으로 투구 시의 자세, 몸의 중심 이동, 그립, 팔모양 등 효율적인 방법들을 찾아냈다.
힘을 모으는 과정인 투구의 첫 단계 다리 들기도 부드럽게 다음 동작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바른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외계인'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메이저리그 톱 투수로 이름을 날렸던 페드로 마르티네스는 그 교본이 된다. 세 번의 사이영상을 수상한 마르티네스는 2006년 4월 어느 투수보다 높은 승률로 200승을 달성했고, 2007년에는 15번째로 3천 탈삼진 클럽에 가입했다. 180㎝의 키와 83㎏의 몸무게는 파워 투수로서는 왜소한 체격이었지만 프로 생활 초기 직구를 꾸준히 95~97마일(153~156㎞)로 던졌고 날카로운 체인지업과 변화구를 섞어 타자를 압도한데는 바로 투구의 시작 단계인 다리 들기부터 공에 힘을 싣는 게 탁월했기 때문이다.
다리 들기의 기본은 머리'척추'배꼽이 일직선인 상태를 유지하며 척추에 힘을 주어 머리와 몸통이 어느 한 곳으로 무너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앞으로 쏠리거나 뒤로 젖혀지는 등 균형이 한쪽으로 무너지게 되면 다음으로 이어지는 투구 동작에 나쁜 영향을 주어 올바른 투구 동작을 할 수 없다. 투구의 첫 단추부터 잘못 꿰는 것이 된다.
일본 투수들을 보면 다리를 들고 난 후 잠시 또는 완전히 멈추었다가 던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균형과 자세를 바로잡기 위함이다. 그러나 멈춤은 생성된 힘이 소멸되어 그만큼 힘 있는 투구가 힘들어진다. 전성기 때 박찬호는 다리를 높고 힘차게 들어 공의 속도를 높였다. 이 역시 균형과 자세가 무너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도움말=류명선 계명대 야구감독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