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초등학교는 책쓰기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습니다. 9일 우리 학교 학생 6명이 쓴 책(거꾸로 가는 시계)이 출판됩니다. 학생 저자 중에서 6학년 이소윤 학생을 만나 책쓰기 활동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책쓰기 활동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6학년 언니, 오빠들이 쓴 '복을 물고 오는 부엉이 목걸이'를 읽고 '나처럼 어린 초등학생들도 책을 쓸 수 있구나. 기회가 되면 나도 한 번 써보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마침 최유진 선생님이 책쓰기 동아리 모집을 하셨습니다. 저는 잘 되었다 싶어서 신청하고 다른 5명의 친구들과 10개월에 걸쳐 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책쓰기와 관련해 어떤 활동을 하였나요?
▶다른 친구들과 같이 모여서 자료도 수집하고, 책도 읽고 인물도 만들었습니다. 역사가 주제인 만큼 역사책을 읽고 자료를 찾으며, 내가 그 시대의 사람이라면 어떨까 생각하고 열심히 책을 썼습니다. 다른 친구들의 이야기를 읽고 '이렇게 하면 어떨까' '저렇게 하면 어떨까' 서로 고쳐주기도 하며 책을 썼습니다.
-책쓰기를 하니 어떤 점이 좋은가요?
▶5, 6학년 때는 고학년이라서 그런지 국어 책에 이야기를 꾸미는 것도 많이 나오고 주장하는 글도 많이 나오는데, 책쓰기를 한 것이 그러한 글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책을 한 번 썼다고 생각하니 글을 쓰는 것에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책쓰기를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요?
▶차 한 대에 7명이 앉아서 마지막 수정을 했던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막바지 작업을 한다고 학교 시청각실에 모이려고 했는데 문이 다 잠겨 있어서 결국 선생님의 차 안에서 서로 수정해주고 그림 그리는 것을 계획하기도 했습니다.
-책쓰기에 관심 있는 다른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요?
▶저도 그랬듯이 다른 친구들도 주제를 정하는 데 너무 공을 들인 나머지 시간에 쫓겨서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단 아무 주제나 가지고 한번 써보라고 이야기를 해주고 싶습니다. 일단 한 번 써보고 나면 다른 좋은 아이디어가 다시 떠오릅니다.
-책쓰기를 하면서 느낀 점과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책을 써보고 나니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작가가 얼마나 많이 노력을 하는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제 장래희망인 변호사를 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을 쓰는 것이 꿈인데, 그 꿈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도록 책을 많이 읽고 생각할 것입니다.
글 경동초교 6학년 홍나경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