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특권 폐지에 나선 국회가 무소속 박주선 의원에 대한 체포 동의안을 어떻게 처리할지 주목된다. 박 의원은 민주통합당 소속으로 공천 경선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불법을 저질러 전 통장이 자살하자 1심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 박 의원의 선거법 위반 혐의가 법원에서 인정된 만큼 체포 동의안은 통과되는 것이 맞다.
박 의원의 체포 동의안에 대해 새누리당은 표결 처리하자는 입장이지만 민주통합당은 박 의원을 감싸는 듯한 모양새를 취하며 체포 동의안 처리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회가 개혁을 외치는 마당에 박 의원이 불체포특권에 기대 이 상황을 넘긴다면 개혁의 진정성은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국회는 박 의원을 순리에 따라 처리하고 의원 특권 폐지 논의를 가속화해야 한다.
그런데 의원 특권 폐지를 추진하는 방식이 실효성이 없어 보인다. 여야는 의원연금제 폐지에만 입장이 같을 뿐 새누리당은 무노동 무임금, 의원의 장관 겸직 금지, 불체포특권 폐지를 제시했고 민주통합당은 이에 대해 반대하거나 개선하자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국민소환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국회 안에서 여야가 제 주장만 하다 보니 특권 폐지 논의가 겉돌게 되고 정치쇼로 흐르는 양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회 개혁은 대상인 국회가 나서기보다 국회 외부에서 전담 기구를 만들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구를 통해 공감대가 형성된 연금 제도 개선을 꾀하고 불체포특권 폐지, 의원의 장관 겸직 금지, 국민소환제 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사안을 깊이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 공항 귀빈실 이용, KTX 무료 이용 등 그 밖의 특권도 폐지 여부를 검토해볼 만하다. 국회가 특권을 내려놓으려면 제대로 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