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장 속 다 해진 신발들 나란히 누워 있다
여름날 아침 제비가 처마 떠나 들판 쏘다니며
벌레 물어다 새끼들 주린 입에 물려주듯이
저 신발들 번갈아, 누추한 가장 신고
세상 바다에 나가
위태롭게 출렁, 출렁대면서
비린 양식 싣고 와 어린 자식들 허기진 배 채워 주었다
밑창 닳고 축 나간,
옆구리 움푹 파인 줄 선명한,
두 귀 닫고 깜깜 적막에 든,
들여다볼 적마다 뭉클해지는 저것들
살붙이인 양 여태도 버리지 못하고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은유에 능한 것은 남에게서 배울 수 없는 능력으로서 천재의 표시"라 하였습니다. 그러나 어떤 것을 다른 것에 적절하게 비유하는 능력보다 더 얻기 어려운 것은 그 비유의 감동을 유지하며 시를 이끌어나가는 힘입니다.
이 시에서 '신발=폐선'이라는 비유는 우리들이 한 번 정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런 생각 자체가 시가 되지는 않습니다. 이 시에서처럼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살아 있는 표현들이 그런 생각을 감동적으로 이끌어나갈 때 비로소 한 편의 좋은 시가 되는 것입니다.
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