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나는
아지랑이 따라
들판 끝까지
달려가 보곤 했었다.
종달새가
하늘 끝으로
가뭇가뭇 사라질 때까지,
망아지 한 마리 되어
달려가곤 했었다.
너무 멀리까지 간 내가
저물 녘,
노을 속에서 길을 잃고,
저녁 별 하나 둘 떠오르면
그 별들 중의 어떤 것이
손을 잡아 주었다.
어릴 때 나는
망아지 한 마리 되어
멀리 가곤 했었다.
----------------
서정적인 시는 대상과 자아의 일체감을 기본적인 정서로 삼고 있습니다. 대상과 자신이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부분에서인가 하나로 이어져 있다는 생각, 그것을 '서정성'(서정적 동일성)이라고 부릅니다.
이 시에서 길 잃은 아이와 그 아이의 손을 잡아준 별의 관계가 서정성의 좋은 예입니다. 이런 정서는 시적 과장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연대가 사라진 우리 시대가 다시 찾아야 할 느낌입니다. 합리성이나 과학성이 놓쳐 버린, 시에 겨우 남아 있는 이 느낌이 메마른 이 세계를 구원할지 모릅니다.
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