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출범 4년…지구별 명암

사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10개 지구 가운데 가장 투자가 활발한 대구테크노폴리스 현장(위)과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 조감도.
사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10개 지구 가운데 가장 투자가 활발한 대구테크노폴리스 현장(위)과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 조감도.

지역 경제를 견인할 새 성장동력으로 2008년 8월 닻을 올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DGFEZ)이 출범 4년여를 맞았다. 대구경북지역 내 총 10개 지구로 나눠 개발되고 있는 DGFEZ는 4년 여를 거치면서 지구마다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는 기업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개발사업에 가속도가 붙은 반면 국제문화산업지구와 구미디지털산업지구, 포항융합산업지구 등은 수년째 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우리는 잘 나가"

대구 달성군 현풍'유가면 일대에 726만9천여㎡ 규모로 개발되고 있는 대구테크노폴리스는 당초 지방산업단지로 지정됐다가 2008년 DGFEZ에 편입됐다. 내년 6월 준공될 이 지구는 산업 및 연구개발(R&D), 주거 등을 갖춘 미래형 첨단복합단지로 조성되고 있다.

현재 전체 공정률이 70%에 이르고 산업용지는 50% 이상 분양될 정도로 개발이 한창이다. 남은 산업용지도 대부분 예약된 상태지만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들의 문의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하 경자청) 관계자는"인기가 높아 기존 업체가 입주에 문제가 생기면 곧바로 입주시킬수 있는 대기 업체들이 많다"고 말했다.

대구테크노폴리스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된 데는 현풍IC가 가까워 접근성이 좋고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고급인력 공급이 가능하며, 각종 R&D기관과 기업지원기관이 몰려 기업들의 기술개발이 쉽기 때문이다. 특히 2014년 대구테크노폴리스 진입도로가 개통되면 대구에서의 접근성도 강화된다. 이곳에는 현대중공업'미국 커민스(합작공장) 등 경쟁력 있는 국내외 기업과 경북대 IT융합기술대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경권센터 등이 들어선다.(표 참조)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도 DGFEZ 가운데 비교적 개발이 잘 되는 지구로 꼽힌다. 영천시 채신동'본촌동'금호읍 구임리 일원(146만8천여㎡)에 조성 중인 이 지구는 원래 영천일반산업단지였다 2008년 DGFEZ에 지정됐다. 국내 최대 부품소재 산업 클러스터를 목표로 하는 이 지구는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전체 공정률이 80%에 이르며 산업용지 분양률도 57%가 넘는다. 현재 빈 땅이 거의 없는 상태다.

이 지구는 영천IC가 가까워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 인프라를 갖추었고 인근에 자동차부품업체나 소재업체들이 많아 연관업계와의 시너지도 높일 수 있다. 또 인근 경산지역에 대학교가 많아 인력 수급도 쉬운 편이라 기업 유치가 수월했다는 분석이다.

◆"계획대로 안 되네"

구미디지털산업지구와 포항융합산업지구, 국제문화산업지구 등 일부 지구는 수 년째 개발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사업시행자들이 자금난을 이유로 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구미디지털산업지구는 한국수자원공사가 시행을 맡아 구미시 금전동과 산동면 봉산'임천리 일원 470만여㎡에 첨단 IT산업과 모바일 특구, 글로벌R&D센터, 국제교육시설 등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 지구는 DGFEZ 지정 4년이 지나도록 토지 보상조차 이뤄지지 않아 허허벌판으로 남아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자금난을 이유로 사업 착수를 계속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수자원공사가 인근 국가산업단지 5단지 개발에 더 관심을 두면서 구미 지구가 후순위로 밀려났다는 분석도 하고 있다.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도 별반 다르지 않다. 포항시 흥해읍 대련'이인리 일대 375만여㎡에 바이오 의료와 국제비즈니스파크 등을 조성한다는 것이 이 지구의 개발 계획. 하지만 사업시행자 LH공사가 지난해 초 자금 사정을 이유로 무기한 사업 재검토에 들어간 후 진척이 안 되고 있다. 더욱이 LH공사가 인근에 포항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개발사업을 맡으면서 포항 지구가 후순위로 밀려났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국제문화산업지구는 다소 사정이 다르다. 대구 남구 대명동 계명대 캠퍼스 내 6만7천여㎡인 이 지구는 아직 사업시행자가 없다. 경자청은 사업시행자로 계명대를 지정하고 게임산업 및 IT기업 유치 등을 통해 2014년까지 단지 조성을 마무리한다는 계획만 세워둔 상태. 이는 지난해 8월 개정된 경제자유구역법 시행령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됐다. 학교법인이 DGFEZ의 사업시행자가 될 수 없다는 규정 때문. 하지만 경자청의 잇단 건의로 지난 7월 이 문제가 해결돼 경자청은 계명대를 시행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재추진하고 있다.

◆개발 부진한 지구 어떻게 되나

경자청은 구미디지털산업지구의 개발이 주춤하고 있지만 사업기간이 2020년까지로 여유가 있는 만큼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내년 6월부터 토지보상을 추진하고 2016년까지 단지 조성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의 경우는 LH공사의 결정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올해 연말까지 LH공사가 사업 재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기 때문. LH공사가 사업을 포기하면 사업시행자 변경을 해야 하지만 경기불황으로 사업시행자 구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자청 관계자는 "경북도와 정치권 등을 설득해 LH공사가 사업 재추진을 확정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문화산업지구는 학교법인이 DGFEZ의 사업시행자가 될 수 없다는 법적 걸림돌이 사라졌지만 계명대가 계속 사업시행자 지정에 부정적 반응을 보일 경우 DGFEZ 해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식경제부가 2014년 8월까지 사업시행자 선정에 실패한 지구들에 대해 경제자유구역 해제를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