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지원 업무를 담당하던 탈북자 출신 계약직 공무원이 간첩 혐의로 구속됐다. 정부의 탈북자 관리에 큰 구멍이 뚫렸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국가정보원 조사대로 탈북자들의 명단과 주소, 이들의 한국 정착 상황 등이 북에 그대로 넘어갔다면 탈북자 사회를 붕괴시킬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국정원은 지난 2004년 탈북해 서울시 계약직 공무원으로 취업한 유모 씨가 탈북 당시부터 동기를 갖고 위장 탈북한 것으로 보고 조사 중이다. 유 씨는 지난 2011년 6월 탈북자 대상 서울시 특별 전형에 2년 계약직으로 들어와 1만여 명의 탈북자 지원 업무를 담당해왔다. 유 씨는 업무를 맡으면서 탈북자 가정을 방문하고 전화 상담을 하는 등 탈북자 현황을 훤하게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이런 정보들이 고스란히 북으로 넘어갔다면 북은 탈북자를 상대로 칼자루를 쥐게 된다. 목숨을 걸고 남한을 찾은 탈북자는 현재 2만 4천여 명, 이 가운데 1만여 명의 정보가 넘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탈북자의 주소나 직장 등 신상정보가 북한에 넘어가면 북한에 남아있을 가족과 친지 등의 신변이 위험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신변 안전을 이유로 탈북자들이 북으로부터 협박을 당할 수도 있다.
정부는 탈북자 관리에 좀 더 신중해야 한다. 초기부터 위장 탈북자는 철저히 가려내는 것이 우선이다. 나아가 탈북자 지원 업무를 계약직 공무원에게 맡겨 두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 탈북자 관리가 국가 안위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 있는 만큼 전문성과 책임감을 가질 수 있는 전문 공무원이 담당하게 하는 것이 옳다. 이런 사건이 터지면 남한의 탈북자 정착 사업에도 걸림돌이 된다. 탈북자들은 북에서 넘어왔다는 이유만으로 편견에 시달리는 이유가 되고 탈북자들로서는 그들이 선택한 안전한 삶의 근간이 흔들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