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靑 수석실 6,7개 선으로 줄어들 듯

당선인 '작은 청와대' 기조…새 정부 골격 주내 완성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새 정부 골격이 이번 주 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불필요하고 불합리한 조직을 최대한 빼는 '작은 청와대' 기조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현재 청와대 대통령실은 '2실 9수석 비서관' 체제다. 하지만, 박 당선인이 경제부총리 제도를 부활해 업무 영역이 겹친다는 점에서 정책실이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 경제 컨트롤 타워를 두 곳이나 둘 필요가 없다는 것인데, 청와대 정책실이 부처 우위에 있어서는 제대로 가동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경제수석 자리도 같은 맥락에서 없어질 것이란 얘기도 있다. 하지만, 경제 정책을 조율하고 보좌할 직책은 필요해 존치해야 한다는 측도 있다.

박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놓은 특별감찰관제가 도입되면 대통령 친인척 감시를 전담하던 민정수석실이 폐지될 수도 있다. 폐지하지 않더라도 역할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국가안보실이 새로 생기는 만큼 외교안보수석실과 국가위기관리실이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공룡 부처로 회자하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돼 청와대와 손발을 맞출 과학수석실 정도는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힘이 쏠린 만큼 협업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전체적으로 9개 수석실이 6, 7개 선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대통령실을 본래의 비서 기능에 충실하도록 손질하자는 것이다.

국무총리 인선은 보안 속에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조무제 전 대법관(경남 진주), 목영준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서울), 유지담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경기 평택), 김능환 전 대법관(충북 진천), 이강국 헌법재판소장(전북 임실) 등이 세평에 오르고 있는데 경제부총리 신설로 율사 출신이 기용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면서다.

하지만, 박 당선인의 인사가 언론의 하마평에 오른 인사와 별개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전혀 거론되지 않은 새로운 인물이 등용될 가능성도 크다.

한편, 인수위가 청와대 및 위원회 조직 개편, 정부 부처 추가 기능 조정안을 확정 발표하면 이번 주 내 정부조직 개정안이 의원입법 형태로 국회에 발의될 가능성이 크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