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지역 경기 여전히 침체

지난해 4분기 이후 국내 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경권(대구경북) 경기는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과 설비투자 소폭 증가하는 등 7∼8월 국내 경기는 2분기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가 지난해 4분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7~8월 서비스업 생산이 2분기 보다 많았으며 제조업 생산도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충청권과 제주권의 7~8월 경기도 회복세를 기록했다. 충청권은 수요측면에서 건설 및 설비 투자가 부진했지만 생산측면에서 제조업 생산이 증가세로 전환되었고 서비스업 생산도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권의 경우 관광 관련 업종 중심으로 서비스업 생산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7~8월 대경권 경기는 2분기에 비해 나아진 것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측면에서 서비스업 생산이 소폭 증가했지만 제조업 생산은 전자통신, 철강, 자동차부품 등 지역 주요 산업의 업황 부진으로 2분기에 이어 감소세를 보였다. 수요측면에서도 설비투자가 보합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사정도 취업자수가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고용률이 낮아지는 등 부진했다.

동남권과 호남권의 경기 회복세도 부진했다. 동남권의 경우 7~8월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모두 2분기 수준에 그쳤으며 호남권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2분기에 이어 감소세를 보였다.

한편 이번에 처음 발행된 지역경제보고서는 한국은행 16개 지역본부 직원들이 지역에 있는 700여개 기업 및 협회 등을 직접 방문해 실시한 심층 인터뷰와 5천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수도권을 비롯 대경권 동남권, 충청권, 호남권, 강원권, 제주권 등 권역별 분석 자료를 담은 지역경제보고서는 경기 흐름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앞으로 매분기 중간월(2월말, 5월말, 8월말, 11월말)마다 발간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