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靑, 檢 독립성 문제 비화·野 정치쟁점화 강한 불쾌감

청와대 사표 유보 속내는

청와대가 15일 '채동욱 검찰총장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았다'며 채 총장의 혼외자식 논란에 대한 진상조사 강행에 나서면서 채 총장 문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채 총장의 혼외자식 문제에 대해 야당이 청와대와 국정원의 개입설을 주장하면서 정치쟁점화하고 나선 데 대한 청와대의 정면대응이라는 점에서 사태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채 총장 문제는) 공직자의 윤리문제이지 검찰의 독립문제가 아니다"며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려면 진실을 규명하면 될 것"이라며 "모든 것은 상식적이고 평상시처럼 하면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가 이처럼 공개적으로 '채 총장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겠다'고 공언하면서 반전에 나선 것은 이 문제를 정치쟁점화하려는 야권은 물론 공직자의 기본적인 윤리문제를 검찰조직의 독립성 문제로 비화시키려는 채 총장에 대한 강한 불쾌감의 표현이라는 분석이다. 정치권에서는 역대 대통령 누구보다 공직자의 윤리문제에 대해 강한 소신을 갖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수석은 "야당이 다른 비슷한 사안에 대해서는 진실 규명을 하자고 하면서 유독 이 건에 대해서는 왜 진실 규명을 요구하지 않느냐"며 이 문제에 대한 야당의 정치공세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와 더불어 청와대는 "공직자의 윤리에 대한 진상 규명은 절차대로 진행되는 것"이라며 채 총장의 사표제출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채 총장의 사퇴는 사생활문제로 곤경에 빠진 채 총장이 전적으로 본인의 판단에 따른 것이지 청와대가 채 총장을 쫓아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하게 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청와대 관계자가 16일 "이번 사안은 검찰독립 문제가 아니라 공직자 윤리문제"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면서 "진실규명이 우선"이라며 채 총장과 3자 회동을 앞둔 야권을 압박하고 나선 것은 청와대의 개입설이 정치 쟁점으로 확산되는 것을 조기 차단하겠다는 의도도 엿보인다.

청와대는 언론보도로 불거진 채 총장의 윤리문제에 대한 진상을 밝히지 않을 경우, 오히려 검찰조직의 독립성과 명예가 훼손될 수 있다며 검찰을 설득하는 모양새도 갖추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