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아파트값 상승률 톱10 '싹쓸이'

구미 10% 올라 전국 최고…대구 북구·달성군은 8%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이후 올해 전국에서 대구와 경북의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KB부동산 알리지(www.kbreasy.com)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경북 구미가 8월 말 현재 10.08%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대구 북구와 달성군이 각각 8.35%, 8.19% 상승률을 보여 2, 3위에 랭크됐다. 이어 ▷경북 경산(7.14%) ▷대구 달서구(6.24%) ▷동구(5.82%) ▷남구(5.46%) ▷경북 포항 북구(5.45%) ▷대구 서구(5.39%) ▷대구 중구(4.68%) 순으로 상위 10위권을 형성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구는 2007∼2010년까지 부동산 침체기를 보냈으나 2011년 이후 물량 부족으로 집값과 전셋값, 분양시장이 일제히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특히 박근혜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과 동대구역세권 개발, 혁신도시·대구국가산업 단지 조성 등 개발 호재가 많아 수도권, 부산 등 외부 투자자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전국의 부동산 투자자들이 대구로 몰려가고 있어 강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경기도 파주는 올해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떨어졌다. 파주는 작년 말과 비교해 5.12% 하락했다. 이어 경기도 양주와 일산 동구가 각각 3.63%, 3.57% 내렸고 김포도 3.55% 떨어졌다.

또 ▷고양 덕양구(-3.48%) ▷동두천(-3.41%) ▷서울 금천구(-3.31%) ▷서울 용산구(-3.26%) ▷의정부(-3.23%) ▷용인 기흥구(-3.14%) 등도 아파트값 하락률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올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25% 내렸다. 올해 집값은 서울과 수도권이 각각 1.32%, 1.44% 떨어졌으나 6대 광역시는 0.61%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의 전셋값은 2.68% 상승했다. 서울과 수도권은 각각 3.10%, 2.92% 올랐고 6대 광역시는 2.40% 뛰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