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과 백경욱 교수 연구팀이 특수 신소재를 이용해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패키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패키징 기술은 스마트폰, 컴퓨터, 가전기기 등 전자제품의 하드웨어 구조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신체에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입는 기기(웨어러블 컴퓨터)를 구현하려면 플렉시블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와 함께 모든 전자제품을 통합할 수 있는 플렉시블 패키징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 패키징 기술은 납땜 등 반도체'전자부품의 전기접속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구부리거나 변형할 때 접속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라는 특수 신소재를 개발, 반도체를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만들었다.
이 소재는 플렉시블 상태에서 전극과 전기적 접속을 잘 형성할 수 있는 '미세 전도성 입자'와 열에 의해 굳어진다. 전극을 감싸 구부릴 때 유연하게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열경화성 폴리머 필름' 등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반도체 소자를 30∼5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두께로 얇게 잘라낸 뒤 기판 위에 이 소재를 패키징했다.
개발된 반도체는 지름 6㎜(밀리미터) 수준까지 구부리더라도 유연한 특성을 나타내며, 기존 반도체 기술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입는 기기의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반도체, 센서반도체, 휘어지는 스마트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병고 기자 cbg@msnet.co.kr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