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로 주저앉았다. 2%대 후반으로 떨어진 것은 처음 있는 일로 그동안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3%대가 무너졌다.
신규고객들과 기존고객들은 저렴한 대출금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 반면 사상 최대의 증가 폭을 보이고 있는 가계부채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3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최저금리는 이달 15일 기준 2.85%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달 6일까지 연 3%를 보이던 금리가 7일 2.98%로 떨어진 후 매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5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고정금리대출의 최저금리 또한 3% 선이 무너져 2.98%로 떨어졌다.
하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금리 역시 이달 10일 3% 선이 무너지면서 2.97%로 내려앉았다. 이어 15일에는 2.92%까지 떨어졌다. 우리은행 고정금리대출과 변동금리대출의 최저금리도 모두 3% 아래로 내려왔다. 고정금리대출 금리는 2.91%, 변동금리대출 금리는 2.9%까지 하락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변동금리대출 금리는 아직 3.0%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조만간 2%대로 내려올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삼일회계법인 최창윤 상무는 "새해 들어 유가 급락,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움직임 등 세계 경제가 불안한 조짐을 보이면서 안전자산인 국채에 돈이 몰리자 각국의 국채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반대로 금리가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창희 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