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 밖을 떠돌던 겨울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 지성, 1991)
어두운 극장에서 쓸쓸히 떠나간 기형도의 비극적 삶이 그의 시에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기형도의 시는 과도하게 평가된 측면이 있다. 오래전 그에 대한 평론을 준비하면서 그에 대한 열광이 얼마나 허술한 것이었는가에 대해 따져본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건 어쩌면 그에 대한 나의 시적 질투였는지도 모를 일. 가끔 만나는 그의 시는 내게 깊은 울림을 준다.
이 시는 비극적 세계관과는 다른 절망의 극한을 보여준다. 어둠을 밝히던 촛불의 이념도 맹목적인 것이었고 우리의 열망도 나의 것이 아닌 다른 누군가의 열망이었을 뿐. 정체를 알 수 없는 겨울 안개와 같은 공포는 우리를 에워싸고, 그 공포를 알릴 나의 주장은 써지지도 않고 눈물만 흐른다. 그리하여 이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세상과의 문을 잠근다. 나는 이 집 속에 있지만 이 집은 빈집이다. 소리칠 수도 없고, 어느 누구도 나를 호명해주지 않으므로, 나는 없는 나이다.
격동의 1980년대에 어떻게 이러한 시적 정서가 가능했는지는 문학 연구자들의 몫으로 남기자. 문제는 이 시가 지금, 바로 여기의 시로 읽힌다는 것이다. 지금이 이 시의 때와 다른 점이 있다면 그 절망이 절망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 이 시에서 내가 문을 잠그고 내 사랑이 빈집에 갇혔다고 말하는 것은 나를 누군가가 바깥에서 호명해 주기를 희망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희망마저 없는 것이 아닐까?
내가 갇혀 있는 빈집. 내가 아직 살고 있는데 이 세상은, 이 집은 왜 빈집인가?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