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남구 대명동의 미군 주둔지인 캠프 워커 헬기장과 활주로 일부 등 6만6천여㎡가 2017년 대구시 소유로 돌아온다. 대구시는 지난해 말 국방부에 이 땅값 316억원을 완납했으며, 관계 절차를 거쳐 2017년에 반환받는다고 밝혔다. 1921년 일본군 기지에 이어 1950년 미군이 주둔하면서 우리 손을 떠났던 이 땅은 이번 반환으로 거의 100년 만에 다시 돌아오게 됐다.
남구 일대에 흩어져 있는 미군 캠프는 인근 주민은 물론, 대구의 도시 발전에도 큰 걸림돌이었다. 특히 캠프워커 헬기장은 소음과 진동으로 인근 주택의 유리창이 깨지고 벽에 금이 가는 등 직접적인 재산 피해를 끼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반환 요구가 거셌다. 지난 2009년 10월에는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에서 반환 협약까지 맺었지만, 실행되지 않다가 이제 8년 만에 해결되는 셈이다.
현재 대구시와 남구청은 공청회와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이 땅의 활용 방안을 찾는 중이다. 인근 주민은 생태공원이나 잔디광장, 공영주차장 건립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시는 전체 반환 부지의 42%인 2만8천여㎡를 공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남구청도 미군 숙소와 관제탑을 스토리텔링 공원으로 만들자는 의견을 냈다. 또, 대구시는 진행 중인 용역 결과에 따라 대구의 대표 도서관을 세울 방침도 세웠다.
이 부지의 최종 활용 방안이 어떻게 나오든 주민 의사가 가장 먼저, 그리고 많이 반영되어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다 좀 더 큰 틀에서 지역 발전을 앞당길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남구는 일찍부터 주거지 등으로 안정돼 발전이 더뎠고, 지리적으로는 앞산과 신천이 자연 경계가 돼 더 뻗어나갈 여유가 없다. 이 때문에 후발 주자인 수성구나 달서구 등에 비해 크게 뒤떨어졌다.
이런 점과 장기적으로 미군 캠프 부지를 모두 돌려받을 것을 예상한다면, 이번 반환은 남구 발전의 중요한 갈림길이 될 수도 있다. 이 기회를 어떻게 살리느냐가 중요하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하나하나 검토해야 한다. 당장 이런저런 계획보다는 20년, 30년 뒤의 미래를 고려해 어떻게 활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