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서 일어난 사례이다. 미국인 여성 A씨는 911에 전화를 걸고서는 다짜고짜 주소를 말하고 "피자를 주문하고 싶다"고 했다. 신고 접수자는 의아했지만 침착하게 다시 물었다. "911에 전화하신 게 맞나요?" "그렇다"는 대답을 들은 뒤, 그제야 A씨가 말을 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 처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주소를 검색하니 이 집에선 몇 차례 가정폭력 신고가 들어온 적이 있었다. 경찰은 바로 출동했고 폭행을 당하고 있는 A씨를 구해냈다.
이를 교훈 삼아 자녀들의 스마트폰 GPS와 Wi-Fi를 켜놓는 습관을 들이자고 제안한다. 일반 위치추적은 기지국 중심으로 반경이 넓게 나온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Wi-Fi가 연결된 무선인터넷 공유기의 위치를 통해서는 매우 정확한 위치를 찾아 낼 수 있어 신속한 경찰 출동에 도움이 된다. 특히 치안취약자인 여성이나 청소년, 치매노인들의 휴대폰 경우는 반드시 GPS나 Wi-Fi를 켜두도록 해야 한다.
경찰청에서는 몇 년 전 오원춘 사건을 계기로 '112신고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고 접수 시 발신번호를 통해 신고자의 개략적인 위치와 신고이력을 확인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사건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양질의 치안서비스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협조가 필요하다.
백익현(달서경찰서 112상황실 경위)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