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 마지막 예결위원장 자리를 두고 물밑 다툼이 치열하다.
지금까지 분위기로는 주호영 국회의원(대구 수성을)과 김재경 국회의원(경남 진주을) 가운데 한 명이 예결위원장이 될 전망이다. 주 의원이 1960년생, 김 의원이 1961년생으로 같은 3선 의원이다.
새누리당 국회의원 사이에선 "경쟁도 좋지만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의 자리다툼으로 영남이 쪼개지는 듯한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눈살을 찌푸리기도 한다.
관례적으로 당 원내대표의 중재나 위원장 후보들 간의 조율로 정리되곤 했지만 이번엔 사정이 좀 다르다. 이 때문에 두 의원 간 감정이 좋지 않다.
김 의원은 지난 4일 당 소속 국회의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국회 윤리위원장이 예결위원장이 되는 것은 여당이 된 뒤 관례다. 이번 후반기 예결위원장 공모도 내용과 절차가 이전과 동일하므로 현 윤리위원장인 제가 차기 예결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 골자였다.
18대 국회 전반기에 이한구-심재철 의원이, 하반기에 이주영-정갑윤 의원이 번갈아 맡았고, 19대 국회 전반기엔 장윤석-이군현 의원이 맡은 것을 예로 들었다.
이에 주 의원은 "분란이 일어난 것처럼 비쳐 송구하다"면서도 "선의의 경쟁을 통해 선출되길 바란다"고 밝혀 경선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주 의원은 "이완구 (전) 원내대표가 하반기 상임위원장 선임 때 김 의원에게 예결위원장을 맡으라고 했으나 김 의원이 정무위원장을 원했고 이후 경선에서 패했다. 하지만 제가 (김 의원을 천거해) 윤리위원장이라도 하는 것이 좋겠다고 이 (전) 원내대표에게 건의했는데 이제 와서 보따리(예결위원장) 내놔라 식 아니냐"고 했다.
이에 김 의원은 "1년 전 주 의원이 예결위원장을 보장받았다고 하지만 이는 당시 (이완구-주호영) 두 분간의 약속으로 당사자인 저의 동의도 없었고 의원들의 공론화 과정도 없었다. 당의 오랜 관행을 깰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예결위-윤리위원장 관행은 예결위원장 경쟁이 치열할 때 조정하기 위한 궁여지책이었다. 김 의원은 왜 지난해 예결위원장직을 그토록 거부했는지 답변해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주 의원을 두 차례 찾아갔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내 기류는 엇갈리고 있다. 선출직이기는 하나 당 정책위의장을 지내고 현재 청와대 정무특보이기도 한 주 의원이 양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같은 3선인 주 의원이 상임위원장을 한 차례도 맡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공존한다. "질서를 위해 관행은 존중받아야 한다"는 쪽도 있고 일부는 "경쟁이 있다면 경선으로 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