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에서 또다시 지진이 났다. 규모 7.3의 강진이 12일 낮 12시 35분(현지시간) 다시 발생, 수십 명이 숨지고 1천 명이 다쳤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에베레스트산과 가까운 남체 바자르 지역에서 서쪽으로 68㎞ 떨어진 지역에서 강진이 발생했다고 12일 밝혔다. 중국 티베트 국경과도 가까운 곳이며 진원 깊이는 19㎞였다.
이번 지진은 지난달 25일 규모 7.8의 강진이 난 뒤 17일 만이다. 지진 직후 30분 이내에 규모 6.3과 5.6의 여진이 이어졌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도 강력한 진동이 감지됐고, 지진 직후 주민들이 건물에서 나와 급히 대피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네팔 내무부는 이번 추가 지진으로 최소 36명이 사망하고 981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했다. 그러나 지난번 강진으로 기반이 취약해진 건물 상당수가 이번 지진으로 무너진 것으로 알려져 사상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피해현장 구호 관계자들은 상당수 건물이 붕괴됐으며 건물 잔해에서 일부 시신이 수습되고 일부 부상자들은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전했다.
카트만두에 머물고 있는 유니세프 직원 로즈 폴리는 "진동이 계속되는 것 같다"며 "거친 파도가 치는 바다에 배를 띄워놓은 것 같은 느낌"이라고 했다.
이번 지진으로 인접 국가에서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네팔과 국경을 접한 인도 동북부 바하르주에서 10대 소녀 3명이 사망했다고 주 당국이 밝혔다. 인도 북부 우타르 프라데시주에서도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중국 티베트에서도 1명이 크게 다쳤고, 진앙에서 북서쪽으로 22㎞ 떨어진 중국 장무에서는 정전과 통신 두절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달 25일 지진으로 지금까지 네팔에서 8천150명이 숨지고 1만7천860명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현재 우리 국민 피해 여부를 파악 중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네팔에는 한국인 600여 명이 머물고 있다. 이 가운데 강진 피해 지원 등을 위해 단기 체류하고 있는 인원은 350여 명으로 파악됐다.
장성현 기자 jacksoul@msnet.co.kr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