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튜닝산업 관련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해 자동차 튜닝 시장을 확대하기로 한 가운데 와이퍼와 휠, 바이저 등 차 외부를 꾸미는 데 쓰는 부품이 각광받으면서 관련 업체들이 화색이다. 반대로 엔진과 변속기 등 성능 향상용 부품은 튜닝 대상 지정 여부가 불투명한 탓에 이를 취급하는 대구경북 기업들은 불안한 기색이다.
지난해 정부는 2012년 기준 5천억원에 불과한 국내 튜닝시장 규모를 미국(23조원)과 독일(23조원) 등 주요 자동차 생산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튜닝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안전 문제로 현행 영업용 트럭과 여객용 버스 등에만 허용됐던 '차량 구조 및 장치 변경' 규제를 완화하고 사전 승인'점검받은 부품을 사용할 때에 한해 튜닝을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대구시도 지난해 10월부터 튜닝산업지원센터를 짓기로 하는 등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같은 움직임에 당장 혜택을 보게 된 외장재 관련 업체들은 공장 가동 속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와이퍼, 휠, 바이저 등 외장재는 튜닝 산업이 활성화되면 시장 수요가 더 커질 것이란 전망에서다. 달성군의 차량용 크롬 액세서리 전문업체인 '오토클로버'의 경우, 주문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공장 가동 속도를 서서히 높이고 있다. 현대'혼다 등 국내외 20여 개 제조사 200종이 넘는 차량의 튜닝용 외장재를 생산하는 이 업체는 튜닝 시장 확대에 따른 주문량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
반면, 엔진'변속기 등 차량 주요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은 찬밥신세다. 차량 성능 향상을 위해 대다수 주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해외 튜닝 시장과 달리 우리 정부는 안전을 문제로 이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있어서다.
대구 달서구의 한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는 "국내 관련 규제와 더불어 국내 대기업들이 규정되지 않은 부품을 생산하지 못하도록 막은 탓에 수입원에 한계가 있었다. 이제야 활로를 찾는가 했으나 국토부가 안전성을 우선 검토해 규제 완화 대상을 지정한다고 해 다시금 앞길이 막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구시는 국토부와 논의해 주요 부품도 튜닝 대상으로 지정한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기계에너지과 관계자는 "튜닝 관련 산업은 산업통산자원부가, 규제는 국토부가 담당하고 있어 논의가 재빨리 이뤄지지 않았다"며 "튜닝부품인증제 대상에 쇼바와 브레이크패드, 오일필터 등 일부 주요 부품을 포함하기로 한 만큼 장기적으로는 대부분의 부품을 허용 품목으로 지정하게끔 힘쓰겠다"고 말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