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청 북부권 이전을 앞두고 제2청사 건립에 관한 논란이 뜨겁다. 제2청사 건립 필요성에는 사회적 의견이 모아진 듯하지만, 그 시기와 규모는 아직 정해진 것이 거의 없다. 과연 경북도청 동남권 제2청사가 지어질 시기와 수행해야 할 역할은 무엇일까.
◆위기의 동해안
포항을 위시한 동남권은 현재 큰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 경기 악화, 경주'영덕'울진 등 원전 집중 논란, 해양산업 추진, 일본의 독도 소유권 도발에 관한 대응 등 해결해야 할 난제도 많다.
먼저 포항의 경우, 국제 철강경기 악화로 역대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는 시점이다.
포항 철강업체 가운데 규모 면에서 3위권 내에 포진하고 있던 동국제강은 최근 제품경쟁력 및 수익성 악화 등으로 연간 생산 150만t 규모의 포항제강소 후판2공장에 대한 영구폐쇄 등을 추진하고 있다. 포항 대표 철강업체 중 하나인 세아제강과 넥스틸, 아주베스틸도 구조조정 등 몸통을 줄여 나름의 생존전략을 고민 중이다.
공공기관 유출도 심각하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동해지사는 최근 청사 이전 대상지를 찾지 못해 포항을 떠나 강원도로 이전하는 방안까지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를 강릉에 빼앗긴 전력이 있는 포항으로서는 무척 뼈아픈 소식이다. 지난 1949년 중앙수산시험장 포항지장으로 출발한 동해수산연구소는 1997년 청사 부지 확보 어려움 및 업무효율성을 이유로 강릉시로 이전했다. 현재 포항에 남아 있는 해양수산 관련 공공기관은 포항지방해양항만청과 독도수산연구센터 등이 유일하다.
이 밖에 최근 한수원 본사 경주 이전과 영덕 새 원전 건립 등 '경북 원전 클러스터'도 포항의 핫이슈다. 현재 경북 경주'영덕'울진을 잇는 경북 동남권에는 모두 11기의 원전이 있다. 우리나라 전체 원전의 약 절반 수준이다. 원전이 마냥 장밋빛 미래만 가져다준다면 좋겠지만, 무시하기에는 그 위험성이 너무 크다. 실제 신규 원전 3기 건립이 예정된 영덕에서는 안전문제를 우려한 주민 반발이 점점 거세지고 있다.
◆제2청사로 경북 발전 물꼬 틔워야
제2청사는 단순히 경북도청 기관이 아니라 경북 동남권지역의 발전을 견인할 중추기관 역할이 요구된다. 즉, 동남권 각 지자체의 의견을 하나로 모아 공동 발전방안을 이끌어야 한다는 의미다.
지난 선거 당시 김관용 도지사는 "앞으로 경북의 도약은 안이 아니라 바깥으로, 육지보다는 해양(동해안)에서 찾아야 한다"고 피력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경북도의 동남권 발전 전략은 그리 실효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번 도청 북부권 이전 계획에서 미뤄보듯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소외된 감마저 느끼게 한다. 실제 경북도의 총 33개 출연기관 중 현재 동남권에 적을 두고 있는 것은 포항의료원과 경주관광공사, 경북개발공사(경산) 등 3개에 불과하다. 또 동남권 해양산업 발전을 위해 국책지원사업으로 지어진 포항 영일만항 역시 물량의 약 1%만 경북지역에서 공급될 뿐, 대부분이 다른 지역에서 운송되는 등 정작 경북의 외면을 받고 있다.
한동대학교 환동해경제문화연구소 구자문 소장(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은 "동남권은 인구밀도가 높고 첨단산업 및 연구개발 기능이 잠재돼 있는 곳이다. 반면, 행정'지역적 요소 때문에 그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마당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면서 "대구경북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도록 당장 지역 구심점 역할을 하는 제2청사 건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포항 신동우 기자 sdw@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