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성장의 발판이 될 중국과의 경제협력 강화

대구경북이 중국 자본과 기업 유치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 지난 3월 장쑤성 옌청(鹽城)경제기술개발구와 경제교류 업무협약을 맺은 데 이어 26일 대구시'경북도와 옌청시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에 한중산업단지 공동 유치 등 경제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하고 협약에 서명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한중 정상회담 때 양국 정상이 한중경제협력단지 추진에 합의한 것을 계기로 지역에 중국의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본격 작업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한중산업단지는 양국이 공동으로 단지개발부터 기업 유치,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하는 공동경제구역이다. 대구경북은 올해 초 한중산업단지 유치를 위한 연구용역을 시작하는 등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경제교류 협약은 대구경북이 대중국 교류의 보폭을 넓혀나가는 계기라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중국은 2013년 해외 직접투자가 1천억달러로 급증하는 등 각국이 중국자본 유치에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동안 외국기업 유치 노력에 비해 큰 성과를 내지 못한 대구경북 입장에서는 한중산업단지 유치는 사활을 걸어야 할 기회다.

그러려면 인구 820만 명의 장쑤성 제1도시 옌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옌청시는 한국기업 유치를 통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룬 모범사례로 꼽힌다. 불과 10여 년 만에 중국 동부의 최대 소금생산지가 기업도시로 변신한 것이다. 한국기업 전용공단을 만들고 기업마다 전담공무원을 배치하는 등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위해 남다른 열정을 쏟은 결과다.

옌청시는 최근 한국사무소까지 설치했다. 우리 지자체와 손잡고 협력과 동반성장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는 것이다. 옌청의 사례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목이 마른 대구경북에는 더 할 수 없이 좋은 본보기다. 특히 국내 기업 유치라는 좁은 틀이 아니라 외국기업'자본 유치를 통한 성장'발전이라는 모범 답안을 옌청시가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한중산업단지는 양국 지자체의 경제협력은 물론 민간교류의 물꼬를 트는 좋은 계기라는 점에서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