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중 지자체 사상 첫 '官 對 官' 경제합작

대구시·경북도-장쑤성 옌청시 MOU 의미

대구시
대구시'경북도와 중국 옌청시가 26일 체결하는 '한중산업단지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으로 중국자본 유치의 지역 교두보 마련이 기대를 모은다. 올해 3월 대경경자청과 중국 옌청경제기술개발구 사이의 '한중경제협력단지 조성'투자유치 업무협약' 체결 모습. 매일신문 DB

26일 대구시'경상북도와 중국 옌청시가 맺는 '한중산업단지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MOU)'은 양국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공식적인 첫 경제합작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동안 중국의 개별 기업이나 투자자 단위에서 대구경북에 진출한 사례는 있지만 이번처럼 지자체들이 한중산업단지 조성이라는 구체적인 공동의 목표 아래 협력한 경우는 처음이다.

한중산업단지는 한'중 최초의 경제협력 거점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한국기업은 중국시장에 진출하는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고, 중국기업은 '메이드 인 코리아' 브랜드를 등에 업고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발판이 될 수 있다.

특히 중국기업 입장에선 한국기업과의 합작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중 FTA에 따른 관세 혜택을 받아 중국 현지보다 싼 비용으로 기업 활동을 벌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올해 3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하 대경경자청)과 옌청경제기술개발구 사이에 체결한 '한중경제협력단지 조성'투자유치 업무협약'의 의미는 각별하다.

현재 중국 정부는 옌청'옌타이'옌볜 등 3곳을, 한국에선 새만금 및 대구경북을 한중산업단지 후보지로 거론하고 있다. 이번에 대구시'경북도'옌청시가 MOU를 체결함으로써 각국 중앙정부를 상대로 한 한중산업단지 유치 작업에서 설득 논리를 얻게 됐다.

대경경자청은 이달 초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한중산업단지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용역 핵심은 ▷한중산업단지 업종'위치(국내)'조성 방안 ▷중국기업 유치 방안 ▷중국 옌청경제기술개발구와 협력 방안 모색 등이다. 외국 기업 유치라는 기존 경제자유구역 틀에서 양국 간 국제협력을 통한 개발'투자라는 한 차원 확대된 개념의 산업단지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유치 업종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제조업을 우선으로 하되, 대구경북의 제조업 특성'여건, 대경경자청 중점 유치 업종을 고려해 국내 한중산업단지에 적합한 제조업 산업군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대경경자청 내 8개 지구의 환경 분석을 통해 한중산업단지 적합지를 선정하고, 중국기업 투자유치 방안과 앞으로 한중산업단지에 대해 중국 옌청경제기술개발구와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도 들어있다.

이번 MOU는 중국 자본의 대구경북 진출 바람에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경북도는 2017년까지 중화권 자본 3조원 유치를 목표로 한 '만리장성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영천 첨단부품소재 산업지구에는 중국의 L사가 태양광 관련 협상을, K사가 자동차 부품생산 관련 협상을 진행 중이다. 대구시에도 중국 의료관광객이 밀려들고 있으며,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수성의료지구에는 중국 제조업체와 투자자들의 계약'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도건우 대경경자청장은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한중산업단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성 방안과 유치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한중산업단지를 중국 자본의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는 '규제 프리존' 모범 모델로 육성해 정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병고 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