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수출 5조원 넘게 꺾이나…위안貨 절하 '직격탄'

증시, 外人 매물 폭탄 1,870선…저유가, 12년 2개월 만에 최저

새해 벽두부터 우리 경제가 심상치 않다. 미국의 금리 인상, 저유가에 따른 경제 불안, 중국 경제 둔화와 증시 폭락에다 북한의 수소탄 실험 등 온갖 악재들이 한꺼번에 터지고 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 3.0%대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고 정부도 인정하는 상황이다.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유가 하락과 위안화 평가절하 등으로 올해 수출액이 5조원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공포에 질린 증시

연초 시작된 중국 증시 폭락 사태는 우리 증시에 치명타가 되고 있다.

중국 증시는 지난 4일과 7일 네 차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주가가 급변동할 때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가 오히려 증시를 마비시키며 증시 폭락의 주범이 된 것이다. 특히 7일에는 개장 30분 만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해 하루 거래가 완전히 중단되기도 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위안화 가치를 계속 낮춰 수출을 늘리려는 것이 증시폭락 사태를 가져온 것이다.

이런 가운데 우리 증시도 동반 폭락했다. 15일 코스피는 중국 증시의 급락 속에 외국인이 매물을 쏟아내며 1,870선까지 추락했다. 외국인은 2천742억원어치를 팔아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외국인은 올 들어서만 1조6천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셀 코리아'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결국 이날 코스피는 전일보다 21.14포인트(1.11%) 내린 1,878.87로, 코스닥 지수는 4.76포인트(0.70%) 내린 678.43으로 장을 마쳤다.

메리츠증권 심대섭 전문투자상담역은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신흥국에 대한 비중 축소 기조로 외국인의 순매도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유가 공포, 현실화

저유가 공포도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간) 두바이유 현물가격은 전날 대비 0.45달러 하락한 26.04달러를 기록했다. 12년 2개월 만의 최저치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많은 전문가들이 현재 30달러 언저리를 오가는 국제 유가가 10달러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비관론을 내놓고 있다. 지속적인 유가 하락으로 중동 및 신흥국의 불황이 장기화할 경우 수출에 주력하는 우리나라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유가가 내려가면 원유를 전량 수입하는 우리에게 유리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중동 산유국들이 저유가로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하면서 우리나라 조선, 건설, 플랜트 등 주력 수출 분야의 수주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중동 지역 건설 수주액은 지난해 무려 52%나 줄었다.

대구은행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유가 1% 하락 시 대구지역 수출은 0.1~0.27%, 경북은 0.1~0.15%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저유가가 지속될 경우 지역 수출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환율 폭등, 대구경북 경제에 직격탄

올 들어 중국 증시 급락과 위안화 평가절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아시아 국가 통화는 다름 아닌 원화였다. 5년 6개월 만에 1달러당 1천200원 선을 넘으며 가치가 1.90% 하락해 아시아 국가 통화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1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천213.4원을 기록했다.

그동안 원화 가치 하락은 우리나라 제품의 수출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호재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의 가파른 환율 상승은 반길 수만은 없는 일이라 지적한다.

특히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원'위안 환율 하락은 대구경북 경제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중국은 지역 최대 교역국이다. 지난해 기준 대구와 경북의 대(對)중국 수출의존도는 각각 22.1%, 28.0%에 달한다. 대구경북연구원에 따르면 원'위안 환율 5% 하락할 때 대구의 총수출은 연간 2억3천421만달러, 경북은 15억4천429만달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안화가 올해 15% 평가절하된다는 전망도 나오는데 이럴 경우 대구경북의 올해 수출은 5조원가량 감소할 전망이다.

삼일회계법인 최창윤 상무는 "중국의 위안화 추가 평가절하에 대비해 완제품 수출 지원 강화, 현지 판로개척 지원 등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