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의도 70배' 남극 얼음덩어리 붕괴…한국, 세계최초 확인

 해양수산부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남쪽 약50㎞ 지점에 있는 대형 얼음 덩어리인 난센 빙붕(氷棚) 끝부분이 붕괴하는 과정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빙붕은 남극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100∼900m 두께 얼음 덩어리다.붕괴한 빙붕은 빙산 2개로 쪼개져 북쪽으로 이동 중이다.

 각각 150㎢,55㎢ 크기인 빙산 2개를 합치면 여의도 면적의 약 70배 규모다.

 해수부는 이 과정을 지난 9일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세계 최초로 관측했다.

 떨어져 나간 빙산에는 GPS가 설치돼 빙산 이동 경로 등을 기록하고 있다.또 관측위성 아리랑5호가 빙산의 이동과 소멸 등을 지속적으로 관측한다.

 해수부는 2014년 1월 난센 빙붕 끝 부분에 생긴 길이 30㎞의 균열을 발견했고,이 균열 사이로 빙하용융수(담수)가 흘러가는 광경을 확인해 지속적으로 빙붕을 관측해왔다.

 빙붕 붕괴는 남극 대륙에 남아 있는 빙하 이동과 융빙(融氷)을 가속해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남극 빙하가 전부 녹으면 해수면이 약 70m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번 빙붕 붕괴가 앞으로 해수면 상승 원인을 규명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해수부는 전망했다.

 해수부는 빙하 관측소를 추가 설치하고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활용해 빙붕이 붕괴한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는 연구를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