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상 없다던 원전, 자정쯤 '스톱'

진앙지 부근 월성 1∼4호기 멈춰…여진에 한수원 뒤늦은 조치 비난

주형환(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오후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를 방문해 제1발전소장으로부터 수동정지된 원전 상황과 지진 관련 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연합뉴스
주형환(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오후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를 방문해 제1발전소장으로부터 수동정지된 원전 상황과 지진 관련 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연합뉴스

원자력발전소를 운영 중인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의 이번 지진 대처가 제대로 된 것이었느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강진이 일어난 직후 "정상 가동 중"이라고 하더니 강진 발생 4시간이 지나자 돌연 일부 원전에 대해 가동 정지를 시킨 것이다.

한수원은 12일 역대 최대 규모인 5.8 지진이 발생하자 진앙지와 가장 가까운 월성 1~4호기와 신월성 1~2호기가 '정상 가동' 중에 있다며 국민을 안심시켰다. 하지만 지진 발생 4시간 후인 오후 11시 56분 돌연 진앙지와 가까운 월성 1~4호기에 대한 가동 정지를 결정했다.

한수원 측은 "이날 두 번의 강한 지진이 정지기준 지진 분석값 0.1g(g'지진에 의해 특정지점이 받는 중력가속도)을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여진이 계속되면서 이를 모두 합치면 0.1g을 초과한다고 판단해 내린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원전은 지반가속도 0.2g(리히터규모 6.5)을 기록하면 바로 정지하게 돼 있다. 0.1g(리히터규모 6.0) 수준의 지반가속도를 나타냈다고 해서 수동 정지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며 "다만 지진 발생 후 4시간 이내 분석해 지반가속도를 판단하도록 돼 있는 규정과 국민적 우려를 고려해 정지 조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수원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 원전 안전에 대한 학습효과가 없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내진설계를 높이는 등 하드웨어적인 조치는 있었지만 지진감지기 반응에 따른 원전 가동 정지 결정 등의 기존 시스템 강화 대책은 없었다는 것.

후쿠시마 사고 당시 한울원전 지진감지기는 작동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수원은 한울원전 지진감지 설정치를 0.02g(리히터규모 4.6)으로 맞춰놔, 지진이 운전정지 기준인 0.1g에 못 미쳐 경보가 울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후 한수원은 지진 안전 대책으로 원전마다 지진감지 설정치를 달리하고 있는 것을 0.01g으로 통일했고, 0.1g 지진에 대해서는 무조건 운전정지 후 안전점검을 원칙으로 세웠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도 보듯 한수원은 0.1g에 근접하는 지진이 발생했지만 정지 결정을 미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