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선도산 마애불(보물 제62호)의 오른쪽 암벽에서 삼국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보이는 명문이 발견됐다.
경주시는 이 명문이 경주 위덕대 박물관장인 박홍국 교수가 유적답사 중 글자가 있는 것을 보고 전공학자들과 함께 조사한 결과, 가로 5행, 세로 5열 중 8자를 판독했다고 4일 밝혔다. 명문은 암벽에서 약 1.3m 떨어져 나와 성모사(聖母祠) 뒷편 처마아래까지 밀려온 바위면에서 발견됐다.
선도산 마애불은 높이 6.85m인 아미타여래입상이 좌우에 높이 4.6m 안팎의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을 거느린 형태다.
많은 학자가 이 불상 주변 어딘가에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신라인이 새긴 글씨가 확인된 셈이다. 불상에 얽힌 사실뿐만 아니라 신라 사회상을 유추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박 관장은 "오래전부터 막연하게 성모사 뒤쪽 바위에 희미한 글씨가 있다는 사실은 알았다"며 "먼지를 닦아내고 탑본을 뜨니 몇몇 글자가 선명하게 보였다"고 말했다.
박 관장이 판독한 글자는 가로 5행, 세로 5열 중 8자다.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1∼5열로 번호를 붙이면, 1열 1행에 운(云)으로 보이는 글자가 있다. 2열 1행은 거(居), 5행은 미(彌)를 새겼고, 3열과 4열 5행에 각각 문(聞)과 사(思)가 있다.
가장 글자가 많이 남은 열은 5열이다. 5열 3∼5행에는 차례로 아(阿), 니(尼에서 匕 대신 工), 신(信)이 보인다.
글자 크기는 세로 3.5∼4.5㎝이며, 상하 글자 간격은 2∼3㎝다. 열간 간격은 약 4㎝다. 바위는 많이 훼손됐으며, 글자가 있는 부분 중간에 대각선 방향으로 후대에
배수를 위해 판 것으로 짐작되는 길이 110㎝, 너비 6㎝, 깊이 3㎝인 홈이 있다.
박 관장은 "이번에 판독한 글자는 전체 글의 중간 부분으로 보이며, 연호나 간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며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 조상 명문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이른 시기 석불 명문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박 관장과 함께 선도산 마애불 명문을 살펴본 이영호 경북대 교수는 "비록 일부글자만 판독했으나, 마애삼존불 조상기일 가능성이 큰 매우 중요한 금석문"이라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