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에서 야구를 즐길 수 있는 스크린야구장이 연인과 직장인이 즐겨 찾는 장소로 새롭게 뜨고 있지만, 안전사고 위험이 클 뿐 아니라 화재에도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올해 3∼4월 전국 스크린야구장 30곳 안전실태조사와 이용경험자 500명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용자의 7.8%(39명)가 스크린야구장 이용 중 안전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사고유형(중복응답)으로는 타석에서 야구공에 맞는 경우가 41.0%(16명)로 가장 많았으며 스크린야구장 내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짐(13명, 33.3%), 타석 외 공간에서 야구공에 맞음(11명, 28.2%), 안전 철조망 등에 찔려 상처를 입음(7명, 17.9%) 등으로 조사됐다.
상해 증상(중복응답)은 주로 타박상(29명, 74.4%)이었으나 찢어지거나 베이는 등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14명, 35.9%), 근육·뼈·인대 손상(7명, 17.9%), 뇌진탕(2명, 5.1%) 등도 있었다.
안전사고 피해자 중 41.0%는 음주 상태에서 야구를 하다가 사고를 당했으며 43.6%는 사고 당시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스크린야구장은 날아오는 공 속도가 평균 시속 68㎞이고 최대 시속 130㎞에 달해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거나 음주 상태로 이용하게 될 경우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크다.
이런데도 조사대상 스크린야구장 30곳 가운데 한 곳을 뺀 29곳(96.7%)에서 보호장비 없이 타석에 들어서더라도 이용을 막지 않았다.
이용자가 보호장비를 착용하려 해도 헬멧은 절반 이상(16개소, 53.3%)의 업소에서 사이즈 조절이 안 되거나 파손돼 사용이 어려웠다.
특히 30곳 모두 주류를 판매하고 있었고, 이 중 28곳(93.3%)에서 음주자의 타석 이용이 허용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