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신축 중인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명칭에서 ‘박정희’ 이름을 빼기로 사실상 결정했다는 소식이다. 그 대신 구미 근현대사 박물관, 구미 공영박물관 같은 명칭으로 개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기로 한 구미시 결정은 매우 잘못됐다. 내년 연말 준공 예정인 역사자료관에는 박 대통령 유품 5천670점이 전시된다. 구미시가 뒤늦게 삼성, LG가 구미공단에서 만든 최초의 제품 등을 전시물에 추가한다고 했지만 거의 모든 전시물은 박 대통령 유품이다. 박 대통령이 국내외에서 선물로 받아 보관하거나 직접 사용하던 물건들을 대거 전시하면서 엉뚱한 이름을 단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구미는 박 대통령 고향이고, 구미국가산업단지도 박 대통령이 만들어 구미가 내륙 최대 도시로 성장하는 기틀이 됐다. 이 같은 박 대통령과 구미와의 인연, 그의 업적 등을 기리고자 생가 옆에 만들고 있는 것이 역사자료관이다. 이를 무시하고 박 대통령 흔적을 지운 박물관을 만든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경북·전남 국회의원 모임인 국회 동서화합포럼이 2014년 영호남 화합 차원에서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사업을 제안했다. 국비까지 투입됐고 공정률 20%인 사업을 일부 시민단체 반발을 이유로 애초 설립 취지와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꾼다는 것은 문제가 많다. 전국에 DJ, YS 이름을 단 기념관들이 수두룩한 것을 고려하더라도 고향에서조차 박 대통령 이름을 빼는 것은 대한민국 국격을 의심케 하는 처사다.
박 대통령은 공과(功過)를 같이 갖고 있다. 역사적 평가와 더불어 그 시대를 제대로 기록하는 작업은 꼭 필요하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역사 유산 기록보존 사업이 정치적 희생양이 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음수사원(飮水思源), 물을 마시면 그 근원을 생각하라고 했다. 역사를 무시하고 지우는 나라엔 미래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