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취업한 중·장년 임금근로자 3명 중 2명은 한 달에 200만원도 못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이 처음 발표한 '2017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새로 일자리를 얻은 만 40∼64세 임금근로자 70만8천명 중 3분의 2는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미만이었다.
100만원∼2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53.0%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도 13.9%로 모두 66.9%가 200만원 미만을 받았다.
200만원∼3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임금근로자는 19.7%에 불과했다.
월평균 임금수준은 208만원으로, 남성(271만원)이 여성(165만원)보다 높았다.
이들은 2016년 10월에는 미취업 상태였지만, 지난해 10월에는 일자리를 취득한 취업자 133만1천명 중 사회보험 가입 등을 통해 임금파악이 가능한 이들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중·장년이 된 뒤 재취업하면 동일하거나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건 어려운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일자리를 잃은 중·장년층 월급쟁이가 종전 직장에서 받던 월평균 임금은 재취업한 중·장년층 월급쟁이보다 높았다.
2016년 10월 취업자였지만, 지난해 10월에 미취업자로 변동된 만40∼64세 임금근로자 70만 3천명의 종전 일자리 월평균 임금은 259만원으로 재취업자보다 51만원 높았다.
특히 200만원∼3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임금근로자는 34.8%로 재취업자의 2배에 가까웠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중장년층 인구는 1천996만4천명으로 총인구의 39.4%에 달했다. 10월 기준 중장년 인구 중 등록취업자 수는 1천208만8천명으로 전체의 61.5%에 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