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연말이면 '교수신문'은 한 해를 돌아보며 사자성어 하나를 꼽아서 발표해왔다. 지난해를 정리하는 말은 임중도원(任重道遠)이다. 뭔가 하면, 짐은 무겁고 가야 할 길은 멀다는 뜻이라 한다. 으음, 얼마나 막막한 상황일까. 이건 정치권에 대한 격려나 비판의 목소리도 되고, 여러모로 일이 많은 대학에 대한 신세한탄 같기도 하다. 풀어놓고 나니까 조금 알겠는데, 난 이런 사자성어가 있는 줄도 몰랐다. 매년 그랬다. 교수라는 분들은 왜 이리 어려운 말을 좋아할까. 사자성어라고 하면 삼한사온부터 퍼뜩 떠오르는 내 수준에서는 그 고상함을 따라가는 것 자체가 임중도원인 것 같은데.
아무튼 짐이 무겁고 길은 멀면 어찌해야 하나? 기왕이면 우리에게 답까지 알려줬으면 좋겠다. 그 길을 가야 되나, 말아야 되나? 나 같으면 짐을 버리고 계속 길을 가지 싶다. 왜냐하면 늘 그렇게 살았기 때문이다. 더 쉬운 길로, 더 가볍게 가는 인생이니까 내가 이 모양이다.
작가 배성미는 적어도 나 같은 부류완 다르다. 그녀는 무거운 짐을 끝까지 이고 길을 간다. 이 말은 상징적인 비유가 아니다. 함께 일을 몇 번 하면서 내가 매번 봤던 모습이다. 그 일이란 게 애당초 작가 본인이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작가는 머리로 구상만 하고 스태프가 손발이 되는 경향이 여기엔 없다. 배성미 작가가 이런 말을 들으면 '누가 사람을 부리고 싶지 않아 그러나, 내 처지가 그렇죠.'라고 겸손히 말할 게 분명하다. 하지만 속으로 강한 그녀가 걷는 길이 바로 설치작가의 숙명이다.
작가는 커다란 투명상자 속에 파도가 몰아치는 이미지의 미디어아트를 설치했다. 바다 일부분을 옮겼지만 우린 드넓은 바다 그 자체를 마주한다. 파도 거품 사이로 문득 내비치는 글귀는 우리 삶이 곧 거친 물살에 이리저리 치이는 피곤한 인생임을 깨닫게 한다. 이 작품 뒤에는 난데없는 배추 한 포기와 밀대자루 하나가 세워져 있다. 이건 노동의 고된 상징이다. 전시공간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물로 바다 전체를 표현했고, 이보다 더 작고 단순한 시멘트 조각 작품을 통해 노동의 가치를 보여주는 배성미는 샘플링의 귀재가 아닐까 싶다. 설치 미술작업은 전시가 끝나면 다시 해체되는 허망한 일일 수 있다. 작가는 그걸 청소와 배추농사에 비유한다. 돌아오는 봄이면 작가가 배추 기르기 프로젝트에 힘을 실었으면 좋겠다. 예술과 노동과 삶의 일치. 멋지다.
윤규홍 (갤러리분도 아트디렉터)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