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엇갈리는 시선… "북미회담 임박징후" vs "한반도 협상구도 복잡해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가 7일 중국 방문을 위해 평양을 출발하기 전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으로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이다. 북한 매체들은 김 국무위원장 부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이날부터 10일까지 나흘간 중국을 방문한다고 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가 7일 중국 방문을 위해 평양을 출발하기 전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으로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이다. 북한 매체들은 김 국무위원장 부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이날부터 10일까지 나흘간 중국을 방문한다고 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TV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차 방중을 위해 평양을 출발했다고 8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TV가 공개한 김 위원장의 출발 영상으로,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동행한 사실이 확인됐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조선중앙TV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차 방중을 위해 평양을 출발했다고 8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TV가 공개한 김 위원장의 출발 영상으로,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동행한 사실이 확인됐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새해 벽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격적으로 중국을 찾으면서 앞으로 북미협상을 포함한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지난해 남북미 중심으로 진행된 한반도 정세 변화에 중국이 본격 가세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준비가 일정 단계에 도달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분석한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에도 북미 간 중요한 계기를 앞둔 시점이나 직후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졌다.

이에 따라 최근 북한과 미국 사이의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의 '딜'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섰고, 조율을 위해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으리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그만큼 현 단계 진행 상황과 향후 방향에 대해 중국과 조율이 순조롭게 마무리가 되면 북미 협상이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장소를 협상하고 있다'는 등 최근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긍정적인 언급을 내놓고, 북중 '무역전쟁'도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점차 봉합되어 가는 양상이라는 점이 북미 협상 가속화에 방점을 찍게 하는 측면이다.

하지만 중국의 가세로 한반도 정세가 더욱 복잡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김 위원장 방중을 계기로 북한과 중국의 밀착도가 높아지는 것을 미국이 반기지 않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6·12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작년 가을 북미간 협상이 교착됐을 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배후론'을 제기하며 북중 밀착을 강하게 견제했다.

미국으로선 김 위원장 방중을 북미정상회담에 앞선 북한의 '배후다지기'로 간주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미중간의 '무역전쟁'과 아시아에서의 '전략경쟁' 구도 속에 중국이 북한이라는 대미 지렛대를 강화하려는 시도라는 것이 미국의 시각일 수 있다.

북중 '밀착'을 통해 북미협상에 대해 중국이 목소리를 점차 높여 가면서 한반도 평화체제 관련 '다자협상'을 비핵화 협상과 병행하는 중국의 '쌍궤병행' 해법이 부상하는 상황도 미국으로서는 달갑지 않을 수 있다.

중국이 주한미군 조정, 유엔군사령부 문제 등을 평화체제 협상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거론하고 나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미·중 무역분쟁과는 별개로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한 좋은 파트너 역할을 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미 CNBC방송 인터뷰에서 "실제로 중국은 북한의 핵 능력으로부터 세계가 처한 위험을 줄이려는 우리의 노력에 있어 좋은 파트너였다"며 "그들이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중이 서로 '관세폭탄'을 주고받으며 무역분쟁을 겪었으나, 북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서로 협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중대한 관심을 갖고 정보 수집·분석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향후 중국측으로부터 적절한 설명을 듣고 싶다"며 "방중에 따른 영향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현시점에서 피하겠다"고 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